서천향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44
한자 舒川鄕校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군사리 315]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407년연표보기 - 서천향교 건립
이전 시기/일시 1550년경 - 서천향교 이전
이전 시기/일시 1599년경 - 서천향교 이전
개축|증축 시기/일시 1809년 - 서천향교 명륜당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93년 - 서천향교 단청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18년 - 서천향교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0년 - 서천향교 동서재 창벽 수리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1년 - 서천향교 향교 담장 수리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4년 - 서천향교 중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서천향교 대성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3호 지정
문화재 해지 일시 1997년 12월 23일연표보기 - 서천향교 대성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해제
문화재 지정 일시 1997년 12월 23일연표보기 - 서천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30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서천향교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서천향교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군사리 315]지도보기
성격 교육 기관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6칸[대성전]|4칸[명륜당]
측면 칸수 2칸[명륜당]
소유자 향교 재단
관리자 전교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에 있는 조선 전기 교육 기관.

[개설]

서천향교(舒川鄕校)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에 있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 내내 존재하였다. 조선 건국 이후 유학이 장려되면서 향교 체제가 본격적으로 정비되었다. 1407년(태종 7) 체제가 확립되는데 이 시기에 서천향교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규정에 따라서 조선 전기 서천향교에는 종6품의 교수가 파견되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교수가 파견되지 않았다.

[위치]

서천향교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군사리 315]에 있다.

[변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서천향교가 군 남쪽 10리[약 3.93㎞]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에서는 “예전에는 군 남쪽 10리에 있었는데, 현재는 옮겨 동문 밖에 있다”라고 하여 16세기와 17세기 사이에 이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선조실록』에 따르면 1599년(선조 32) 9월 12일 충청감사 김늑은 서천의 진사 이유 등이 올린 서천향교 이전 요청 상소를 소개하는 글을 올렸다. 서천향교는 본래 읍치 남쪽 10리에 있었는데 읍치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50년 전인 1550년경 읍성 가까이 이전하였다. 하지만 향교 유생들은 지세가 매우 협소하고, 정유재란 당시 향교가 불타 읍성 동쪽으로 옮겨 달라고 하여 현재 위치로 이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이전 서천향교의 중수 기록은 확인하기 어렵고 19세기 이후의 기록은 향교 내 현판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1809년(순조 9) 서천군수 홍중대가 명륜당을 중수하고 1893년 서천군수 이회창이 향교의 전체적인 단청과 보수를 하였다. 1886년 충청감사 심상훈이 강학전을 지급하여 흥학의 재원으로 삼았고, 1890년 향교가 쇠락하자 수령 이희경이 부임하여 폐단을 해소하였고, 1893년에는 서천군수 김린수가 토지를 매입하였다. 이후 1918년, 1920년, 1931년 서천향교를 중수한 사실이 확인되며 1983년 폭설로 대성전이 무너지자 1984년 중수하였다.

[형태]

서천향교는 후면에 높은 구릉이 있다. 홍살문과 외삼문을 지나면 전면에 명륜당, 후면에 대성전이 있는 전학후묘의 배치 형식을 갖추고 있다. 강학 공간인 명륜당을 두고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있다. 명륜당 뒷쪽에는 묘당 공간인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은 정면 6칸의 팔작지붕이고 명륜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장방형이다. 홍살문 동편에 하마비가 있다.

[현황]

서천향교에 소장된 문서로는 1922년 작성된 『존안(存案)』, 임오년의 『청금록(靑衿錄)』, 『석전제홀기(釋奠祭笏記)』 등이 남아 있다. 서천향교에서는 매년 2월과 8월에 석전제를 지내고 있다. 서천향교 대성전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3호로 지정되었으나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이 해제되었다. 서천향교는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3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서천향교는 충청남도 서천 지역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된 조선 시대 교육 시설로, 지역사 연구를 위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