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77
한자 儒敎
분야 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동

[정의]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전개된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 종교.

[개설]

유교(儒敎)는 중국에서 기원한 종교이자 철학 사상으로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가치를 중요시하며, 특히 부모에 대한 효(孝)와 군주에 대한 충(忠)을 강조한다. 유교는 이상적인 가족 제도와 군신 관계, 국가 제도 등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발전하였는데, 한국 유교는 조선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조선의 조정은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선택한 후 유교 사상을 백성들에게 가르치기 위하여 각 지역마다 향교(鄕校)를 설치하였다. ‘일읍일교(一邑一校)’의 원칙에 따라 군현마다 모두 1개의 향교를 두었는데, 현재 충청남도 서천군에는 조선 시대에 설립된 한산향교, 서천향교, 비인향교가 남아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유교 사상의 확산과 발전이 이루어지자, 16세기 이후로는 서원(書院)과 사우(祠宇)가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향교가 국가 주도로 세워진 것이었다면, 서원과 사우는 민간 주도로 세워졌다. 특히 서원은 유교 사상을 연구하는 교육 기관의 기능과 선현(先賢)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는 제향처의 기능이 있었던 만큼 당대인들에게 주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서천 지역에는 문헌서원(文獻書院)[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건암서원(建巖書院), 화산서원(華山書院) 등이 설립되었다. 서천 지역은 뛰어난 유학자들이 세거하였는데, 가정(稼亭) 이곡(李穀)[1298~1351]과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 등이 대표적이다. 이곡이색은 고려 후기~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유학자로 부자가 모두 고려와 중국 원나라에서 과거에 합격하였다. 이곡이색을 배향한 문헌서원의 설립은 조선 시대 서천의 유교 사상적 위상을 보여 준다. 이외에도 서천 지역에 분포하는 각종 사당과 비각 등의 유교 유적은 서천 지역의 발달된 유교 문화를 보여 주고 있다.

[서천의 향교]

조선은 건국 이후 유교 사상을 전파하기 위하여 전국 각지에 향교를 설치하였다. 현재의 서천군에 속하는 서천군, 한산군, 비인현 3개 군현에 각각 향교가 설치되어 전하고 있다. 서천향교[충청남도 기념물], 한산향교[충청남도 기념물], 비인향교[충청남도 기념물] 모두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지만, 향교 제도를 정비한 1407년 전후에 설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천향교는 여러 차례의 보수를 거쳤으며, 한산향교는 1850년대부터 1976년까지 대대적인 보수가 있었다. 비인향교는 1831년 대성전을 보수하였고,이후 여러 번 중수가 이뤄졌다. 비인향교에는 선생안, 유생안, 동몽안, 노비전답안 등 다양한 고문서가 소장되어 있다.

[서천의 서원]

서천 지역에 설립된 서원으로는 문헌서원, 건암서원, 화산서원 등이 대표적이다. 문헌서원이곡, 이색을 비롯하여 한산 이씨 6명을 배향한 서원으로 1594년에 ‘효정사(孝靖祠)’로 설립되었다. 이후 사당의 기능뿐 아니라 유교 사상을 연구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1611년 사액받아 문헌서원이 되었다. 건암서원이산보를 비롯한 4명의 인물을 배향한 서원으로 1662년 창건되었으며, 1713년 사액 서원이 되었다. 화산서원권성권변을 비롯한 7명의 인물을 배향한 서원으로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지만 18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서원, 건암서원, 화산서원은 모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19세기 후반에 훼철되었다. 문헌서원화산서원은 후대의 노력으로 재건되었으나, 건암서원은 재건되지 못하고 터만 남아 있다.

[서천의 유교 유적]

조선 시대 유교 사상이 발달되면서 각 지역에서는 효녀비, 열녀비, 충신비 등의 비각을 세우고, 문중별 사당을 건립하면서 유교적 가치관을 확대, 재생산하였다. 서천 지역에서도 각종 비석과 사당이 건립되었는데, 1392년 맹희도 효자비가 최초로 세워진 후 1399년 맹사성 효자비, 1398년 서천 이종선 효자비[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등 다양한 형태의 정려비가 19세기까지 계속 건립되었다. 또한, 유교적으로 명망이 높았던 이곡이색의 묘지가 조정되면서 신도비가 세워지기도 하였다. 가계의 결속과 유대를 다지며 유교적 가치관을 실현할 목적으로 서천청덕사[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율리사[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서천청절사[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충양사 등 다양한 사당도 건립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