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84
한자 忠襄祠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주원로41번길 92[주항리 496-2]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경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이전 시기/일시 1938년 - 충양사 이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3년 - 충양사 중수
현 소재지 충양사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주원로41번길 92[주항리 496-2]지도보기
원소재지 충양사 - 경기도 과천시
성격 사당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3칸[사당]
측면 칸수 1칸[사당]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주항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사당.

[개설]

충양사(忠襄祠)는 청주 한씨 한명회(韓明澮)[1415~1487], 한보(韓堡)[1447~1522], 한여복(韓汝復)[1584~1648] 등 3인을 모신 사당이다. 한명회는 청주 한씨의 중시조로 조선 전기 계유정난을 주도하여 세조를 즉위시키는 데 공을 세웠다. 세조 즉위 후에도 정난공신, 좌익공신, 익대공신, 좌리공신 등에서 모두 1등으로 책봉되었으며 예종과 성종의 장인이기도 한 권신이었다. 연산군 즉위 후 갑자사화가 발생하여 한명회는 부관참시당하였으나 중종반정 이후 신원되었다. 한보는 한명회의 아들로 좌리공신 4등에 책봉되어 국정에 참여하였으나 연산군 즉위 후 갑자사화로 인하여 화를 당하였다. 한여복은 한명회의 6대손으로 인조반정 당시 백금을 기부하여 정사공신 3등에 책봉되었다.

[위치]

충양사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주원로41번길 92[주항리 496-2]에 있다.

[변천]

충양사는 본래 경기도 과천시에 있던 사당으로 건립 시기는 자세하지 않다. 충양사가 화재로 소실되면서 1938년 현재 위치로 이건하였다. 이후 1993년 충양사를 중수하였다.

[형태]

충양사는 사당와 외삼문으로 조성되어 있다. 사당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이고, 외삼문에는 ‘청익문’이라고 현액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충양사는 한명회 등 청주 한씨의 권신들을 배향함으로써 친족 간의 결속을 도모하는 공간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