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546 |
---|---|
한자 | 文獻書院 |
이칭/별칭 | 효정사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경동 |
건립 시기/일시 | 1594년![]() |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594년~1598년 - 효정사 소실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611년 - 문헌서원 중수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611년 - 문헌서원 사액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871년![]()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69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4년 5월 17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문헌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문헌서원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
현 소재지 | 문헌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 |
성격 | 서원 |
양식 | 전학후묘 |
소유자 | 한산 이씨 종중 |
관리자 | 한산 이씨 종중 |
문화재 지정 번호 |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개설]
문헌서원(文獻書院)은 한산 이씨 가정(稼亭) 이곡(李穀)[1298~1351],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 현암(玄岩) 이종덕(李種德)[1351~1388], 인재(麟齋) 이종학(李鍾學)[1361~1392], 양경공(良景公) 이종선(李種善)[1368~1438], 한재(漢齋) 이맹균(李孟畇)[1371~1440], 백옥헌(白玉軒) 이개(李塏)[1417~1456], 음애(陰崖) 이자(李耔)[1480~1533] 등 8인을 모시고 있다. 이곡과 이색 부자는 고려 후기 고려와 원나라에서 모두 과거를 급제하였던 인물들로 성리학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받는다. 이종덕과 이종학은 이색의 아들로 고려 후기 조선의 개국을 반대하였으며 이종덕은 효성, 이종학은 문장에 이름이 높았다고 전한다. 이종선은 이색의 아들로 아버지의 상을 당하고 3년간 여묘살이를 하여 효자로 일컬어졌으며, 성품이 온량하고 의리가 있다고 하여 ‘양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맹균은 이종덕의 아들로 학문에 부지런하고 백성을 사랑하였다고 하여 ‘문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개는 이종선의 손자로 사육신 중 한 명이었다. 이색의 후손인 이자는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시와 문장에 뛰어났다고 전한다. 문헌서원은 창건 이후 송준길(宋浚吉), 윤증(尹拯), 남구만(南九萬), 권변(權抃) 등이 원장을 역임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문헌서원 액호를 작성하였고, ‘진수당’, ‘존양재’, ‘석양재’의 글씨는 송준길이 작성하였다.
[위치]
문헌서원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66[영모리 10]에 있다.
[변천]
문헌서원은 1594년 이곡과 이색을 제향할 목적으로 만든 사당이었다. 건립 당시에는 ‘효정사(孝靖祠)’로 불리었다. 그러나 정유재란으로 사당이 소실되었고, 1610년 충청감사 정엽과 이경탁 등의 주도로 재건이 결정되었다. 1611년 강당이 세워지고 ‘문헌(文獻)’이라는 명칭을 사액받으면서 ‘문헌서원’으로 불리었다. 1611년 이종학과 이자를 추가로 배향하였고, 1713년 이개의 신위가 서원에 추가로 안치되었다. 문헌서원은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이후 1891년부터 옛 터의 단에서 제향하기 시작하였으며, 한산 이씨 문중에 의하여 1969년 복원되었다. 1969년 이종덕을 추가로 배향하였고, 2013년 서원 건물의 재정비를 거치면서 이종선과 이맹균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형태]
문헌서원은 강학 공간과 묘당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학 공간에는 강당과 서재가 있으며, 묘당 공간에는 사당이 있다. 배치 좌향은 진좌술향(辰坐戌向)으로 서북향이다. 외삼문을 통하여 들어오면 중정이 있고, 중정을 앞에 두고 강당과 서재가 있다. 강당은 전면을 향하고 있으며, 서재는 강당 앞에 직각으로 있다. 내삼문을 통하여 들어오면 사당이 있다. 전체적으로 전학후묘(前學後廟) 형태를 띠고 있다.
[현황]
문헌서원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문헌서원은 매년 음력 3월 중정일과 9월 중정일에 춘추향사제를 지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문헌서원은 한산 이씨 인물들의 공적을 기리는 사당에서 시작하여 서원으로까지 발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