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산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80
한자 劍山祠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구복길 107[구복리 4-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경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44년경 - 검산사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연표보기 - 검산사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9년연표보기 - 검산사 재건
현 소재지 검산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구복길 107[구복리 4-1]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맞배지붕[사당]
정면 칸수 3칸[사당]|5칸 반[재실]
측면 칸수 2칸[사당]|1칸 반[재실]
소유자 능성 구씨 종중
관리자 능성 구씨 종중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구복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개설]

검산사(劍山祠)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출신 구황(具滉)[1561~1600]을 배향하고 있다. 구황은 1583년 무과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여 무신으로 활동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함경남도 단천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워 승리하였으며, 1600년 7월 15일 함경북도 회령 지역에서 여진과의 전투 중에 전사하였다.

[위치]

검산사는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구복길 107[구복리 4-1] 종배마을 뒷산 기슭에 있다.

[변천]

구황의 신위는 본래 1655년 함경북도 경성군의 창열사(彰烈祠)에 배향되었으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능성 구씨 문중에서 별도로 구황을 배향하고자 하였다. 이에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서천청절사기계 유씨와 함께 구황을 배향하였다. 이후 가세를 확장한 능성 구씨 문중이 1844년경 능성 구씨 동족 마을인 구복리검산사를 건립하여 구황을 배향하였다. 검산사는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 훼철되었다가 1979년 훼철된 검산사와 가까운 현재 위치에 재건되었다.

[형태]

검산사는 구황의 신위를 봉안한 사당와 내삼문, 재실로 구성되어 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이익공의 맞배지붕이다. 내삼문에는 ‘효충문(效忠門)’이라는 현판이 있다. 내삼문 앞에는 재실인 ‘숭의재(崇義齋)’가 있는데 정면 5칸 반, 측면 1칸 반이다. 재실 중앙부의 대문은 사당으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한다.

[현황]

검산사 사당 앞에는 1979년 전용혹이 짓고 김철현이 쓴 ‘검산사비’가 세워져 있다.

[의의와 평가]

검산사능성 구씨 문중의 결속을 보여 주며, 가세가 확장됨에 따라 검산사를 건립한 점은 조선 후기 재지 사족의 세력 확장 사례를 확인시켜 준다는 의미가 있다. 한편 무신을 배향한 점에서 서원 등과 차이를 보여 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