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청덕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49
한자 舒川淸德祠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서문로1065번길 60[지원리 644]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경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17년연표보기 - 서천청덕사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2월 30일연표보기 - 서천청덕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08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서천청덕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서천청덕사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현 소재지 서천청덕사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서문로1065번길 60[지원리 644]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맞배지붕[사당]
정면 칸수 3칸[사당]|3칸[재실]
측면 칸수 1칸[사당]|1칸[재실]
소유자 평해 구씨 안장공파 종중
관리자 평해 구씨 안장공파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지원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사우.

[개설]

서천청덕사(舒川淸德祠)는 조선 전기 문관 백결재(白潔齋) 구종직(丘從直)[1404~1477]을 배향한 평해 구씨 문중 사당이다. 구종직은 1404년 출생하여 1444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원종공신에 책봉되었다. 이후 공조판서를 역임하고 1466년 세조가 실시한 특별 시험의 일종인 등준시에 합격하여 자헌대부로 승진하였다. 구종직은 경학에 밝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성종실록(成宗實錄)』에 기록된 구종직의 글에 따르면 세조는 자주 구종직과 함께 경서의 의미를 논하였다고 한다.

[위치]

서천청덕사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서문로1065번길 60[지원리 644]에 있다.

[변천]

서천청덕사는 1917년 건립되었다. 1919년 김녕한이 지은 ‘묘정비(廟庭碑)’가 재실 앞에 세워졌다.

[형태]

서천청덕사의 총 면적은 725.9㎡으로 외삼문과 내삼문, 경현재(景賢齋)와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현재는 재실로 쓰이고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이다. 사당은 익공계 맞배지붕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이다.

[현황]

서천청덕사는 2010년 12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0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2021년 문산면의 종합 정비 계획 차원에서 서천청덕사 보수 및 정비에 2억 원의 예산이 편성되었다.

[의의와 평가]

서천청덕사는 조선 전기 관료였던 구종직의 위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조선 후기 이래로 재지 사족이 동성 촌락을 형성하며 가족 단위를 중심으로 사회적 위상을 공고히 하였던 모습을 서천청덕사의 설립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