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인향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43
한자 庇仁鄕校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비인로136번길 68[성내리 169]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407년연표보기 - 비인향교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31년 - 비인향교 대성전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2년 - 비인향교 문묘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3년 - 비인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8년 - 비인향교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2년 - 비인향교 중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비인향교 대성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6호 지정
문화재 해지 일시 1997년 12월 23일연표보기 - 비인향교 대성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해제
문화재 지정 일시 1997년 12월 23일연표보기 - 비인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29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비인향교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비인향교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비인로136번길 68[성내리 169]지도보기
원소재지 비인향교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성격 교육 기관
양식 팔작지붕|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대성전]|5칸[명륜당]
측면 칸수 3칸[대성전]|2칸[명륜당]
소유자 향교 재단
관리자 전교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교육 기관.

[개설]

비인향교(庇仁鄕校)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 내내 존재하였다. 조선 건국 이후 유학이 장려되면서 향교 체제가 본격적으로 정비되었다. 1407년(태종 7) 체제가 확립되는데 이 시기에 비인향교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라서 조선 전기 비인향교에는 종6품의 교수가 파견되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교수가 파견되지 않았다.

[위치]

비인향교는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비인로136번길 68[성내리 169]에 있다. 현재 비인향교가 있는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교촌마을은 남북으로 길게 이어진 월명산[비인면]이 병풍처럼 둘러 있고 마을 앞에는 평탄한 농경지가 있다.

[변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비인향교는 현 북쪽 2리[약 785m]에 있다고 하였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현 동쪽 3리[약 1.18㎞]로 옮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이 성종 대에 편찬되었고, 『신증동국여지승람』이 중종 대에 편찬되었으므로 1481년(성종 12)과 1530년(중종 25) 사이에 비인향교가 읍성 북쪽에서 읍성 동쪽으로 이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에서도 현 동쪽 3리에 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는 향교가 이전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향교에 소장된 고문서인 「향교전답치부(鄕校田畓置簿)」에 따르면 1831년(순조 31) 대성전을 20냥을 지출하여 보수한 기록이 있다. 1922년에는 이치권이 쓴 「문묘중수기(文廟重修記)」에 비인향교를 중수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1933년에는 이민성이 쓴 「성전중수기((聖殿重修記)」에 박종필이 재원을 마련하여 향교를 보수하였다고 하였고, 1938년과 1962년 비인향교를 중수한 기록이 있다.

[형태]

비인향교는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를 따르고 있다. 하마비를 지나면 외삼문이 나오고 대성전과 명륜당이 중심 축을 형성한 ‘一’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릉 지대를 올라갈수록 위계질서가 확인된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명륜당이 있고 뒤에 대성전이 있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고,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다. 다른 향교와는 다르게 동재와 서재, 동무와 서무가 없다.

[현황]

비인향교에는 다수의 기록물이 보존되어 있다. 선생안, 유생안, 동몽안과 같은 명단 기록물이 6종 13책, 노비전답안 2책, 절목류 5종 6책으로 총 12종 21책이 있다. 현판으로는 1899년 「향교출연기(鄕校出捐記)」, 1902년 「향교보폐기(鄕校補弊記)」, 1922년 「문묘중수기」, 1933년 「성전중수기」, 1938년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962년 「교궁향사답매납기(校宮享祀畓買納記)」, 1962년 「교궁수즙기(校宮修葺記)」, 1966년 「성전수선급교토환완기(聖殿修繕及校土還完記)」 등이 있다. 봄과 가을에 석전제를 봉행하고 있으며 전교와 장의가 향교를 운영하고 있다.

비인향교 대성전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6호로 지정되었으나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이 해제되었다. 비인향교는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2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비인향교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의 지방민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된 조선 시대 교육 시설로, 지역사 연구를 위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