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서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82
한자 華山書院
이칭/별칭 화산사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출길 66-17[화산리 15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경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세기연표보기 - 화산사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연표보기 - 화산사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2년연표보기 - 화산사 복원
개칭 시기/일시 2005년연표보기 - 화산사에서 화산서원으로 개칭
현 소재지 화산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출길 66-17[화산리 153]지도보기
성격 서원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사우]
정면 칸수 3칸[사우]|3칸[외삼문]
측면 칸수 1칸 반[사우]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개설]

화산서원(華山書院)권벽(權擘)[1520~1593], 권변(權忭)[1651~1726], 권성(權惺)[1653~1730], 조수륜(趙守倫)[1555~1612], 권필(權韠)[1569~1612], 홍미(洪冞)[?~?], 권양(權讓)[1628~1697] 7인을 모신 서원이다. 권벽안동 권씨이며, 승문부제조와 강원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권변안동 권씨이며, 대사간 등을 지냈다. 권성안동 권씨이며, 평안도관찰사와 충청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조수륜풍양 조씨이며, 호조좌랑과 평택현감 등을 지냈다. 권필안동 권씨이며, 정철의 문하생이고, 『석주집(石洲集)』, 『주생전(周生傳)』 등을 편저하였다. 홍미는 남양 홍씨이며, 1596년 이몽학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웠고,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권양안동 권씨이며, 병조좌랑 등을 지냈다.

[위치]

화산서원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출길 66-17[화산리 152]에 있다.

[변천]

화산서원은 18세기 권변권성을 배향한 사당인 화산사(華山祠)로 건립되었다. 안동 권씨의 사당으로 과거 서천 향현사의 명맥을 이어 권변권성을 모신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 훼철되었고, 1992년 현재 위치에 화산사가 복원되었다. 복원 이후 화산사는 권벽을 주벽으로 권변, 권성, 조수륜, 권필, 홍미, 권양 7인을 모시고 있다. 화산사는 2005년 성균관으로부터 ‘화산서원’의 명칭을 인정받아 화산서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형태]

화산서원은 사우, 영당, 재각, 외삼문, 재실로 구성되어 있다. 사우인 화산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고, 오른쪽에 영당과 재각이 1채씩 있다. 외삼문은 정면 3칸으로 솟을삼문이고, 외삼문을 나서면 재실인 문회재(文會齋)가 있다.

[현황]

화산서원은 매년 음력 3월 5일에 춘향제를 지내고 있으며, 권성선생영정[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 봉안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화산서원안동 권씨의 사당으로 시작하여 현대에 재건되어 서원으로 변화한 것으로, 전통 사회의 문화가 보존·발전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