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청절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48
한자 舒川淸節祠
이칭/별칭 청절사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길 171[남당리 3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경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10년연표보기 - 서천청절사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연표보기 - 서천청절사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3년연표보기 - 서천청절사 복원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5년 - 서천청절사 개축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4월 10일연표보기 - 서천청절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9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서천청절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서천청절사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현 소재지 서천청절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길 171[남당리 32]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맞배지붕[사당]|맞배지붕[모청재]
정면 칸수 3칸[사당]|3칸[모청재]
측면 칸수 2칸[사당]|1칸[모청재]
소유자 기계 유씨 종중
관리자 기계 유씨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개설]

서천청절사(舒川淸節祠)기계 유씨 유기창(兪起昌)[1437~1514], 유여림(兪汝霖)[1476~1538], 유홍(兪泓)[1524~1594], 유황(兪榥)[1599~1655], 유계(兪棨)[1607~1664] 5인을 모시고 있다. 유기창은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고 사망할 때까지 연산군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 유여림은 대사헌과 형조판서 등을 지냈다. 유홍은 우의정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와 왕비를 호종(扈從)하였다. 유황은 병조참의와 공조참의 등을 지냈다. 유계는 호서 산림 오현으로 일컬어졌다.

[위치]

서천청절사는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길 171[남당리 32]에 있다.

[변천]

서천청절사는 1710년 건립되었다. 당시에는 유기창과 유여림을 배향하였으나 1743년 유홍이 배향되었고, 1745년 유계가 배향되었다. 1790년 유황이 배향되면서 5개의 신위를 모시게 되었다. 이후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 훼철되었다. 1892년 단 위에서 제사가 재개되었으며, 1933년 복원하였고 1975년 개축하였다.

[형태]

서천청절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당은 맞배지붕으로 내부에 신위가 봉안되어 있다. 재실 겸 강당인 모청재(慕淸齋)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형태이다. 내삼문은 3칸의 솟을대문 형태이다. 모청재 옆에는 1936년 세워진 ‘후손진무모현의비(後孫鎭戊慕賢義碑)’가 있다.

[현황]

서천청절사는 2008년 4월 1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의의와 평가]

서천청절사기계 유씨의 문중 사당으로 가계 구성원의 결속을 다지는 한편, 향촌 사회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보여 주는 창구로 기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