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서천군의 교통과 운송 수단. 교통은 사람·물자의 장소적 이동, 즉 운송 및 통신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교통로에는 도로 및 철도를 포함한 육상 교통로뿐만 아니라 선박에 의한 해상 교통로, 항공로 등을 포함한다. 서천군의 교통은 육상 교통으로는 도로와 철도 교통이 중심이 되며, 바다에 인접한 지리적 특징으로 해상 교통도 갖추어져 있다. 서천군 내의 대표적인 도시는 서...
도로
-
충청남도 서천군 내에서 사람의 이동과 물자 수송을 위하여 만들어진 길. 도로는 사람과 우마와 차량 등이 오고 갈 수 있도록 만든 일정한 너비로 뻗은 땅 위의 시설이다. 우리나라 「도로법」에 의하면, 도로는 고속도로, 일반 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도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터널과 교량 등의 시설물도 도로에 포함되는 시설로 규...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충청남도 공주시를 잇는 서해안고속도로의 지선. 서천과 공주 간에 개설된 고속도로이므로, 서천공주고속도로[고속국도 제151호]로 명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충청남도 서천군을 거쳐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연결하는 고속 국도. 서해안고속도로는 1991년 7월 25일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에 따라 명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서해안에 인접하여 건설되어 서해안고속도로[고속국도 제15호]로 불리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해안선이라고도 불린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개정면을 연결하는 도로. 금강로는 충청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의 두 지자체에 걸쳐 있으며, 금강 하굿둑을 지나간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동백대교에서 부여군을 거쳐 논산시 광석면 대교앞 교차로를 잇는 일반 국도. 대백제로는 서천군과 부여군, 논산시를 잇는 충청남도 서남부의 중심 간선 도로이다. 전 구간이 국도 제4호의 일부이며, 일부 구간은 국도 제21호, 국도 제39호, 국도 제40호, 국도 제77호, 지방도 제611호, 지방도 제617호, 지방도 제723호의 일부로 지정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을 연결하는 도로. 서문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오거리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가로공원삼거리까지를 잇는 지방도이다. 서천군에서는 서천읍 군사리에서 문산면 은곡리까지를 지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서 마서면을 거쳐 서천읍을 연결하는 지방 도로. 장항읍과 서천읍을 연결하므로, 장항읍의 ‘장’ 자와 서천읍의 ‘서’ 자를 따서 ‘장서로’라고 명명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서 서천군 종천면을 연결하는 지방 도로. 장천로는 장항읍과 종천면을 연결하므로, 장항읍의 장 자와 종천면의 천 자를 따서 명명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서 서천군 판교면을 연결하는 지방 도로. 서천군 종천면과 판교면 사이를 잇는 도로이므로, 행정 구역 명칭인 종천면의 종 자와 판교면의 판 자를 따서 종판로로 명명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서 예산군 예산읍을 연결하는 도로. 충청남도 내륙 서쪽의 주요 도시를 관통하는 간선 도로라는 의미에서 충서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서 충청남도 부여군·청양군·예산군을 거쳐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을 연결하는 도로. 충절로는 충청인들이 지켜 온 나라에 대한 충절의 전통을 기리기 위하여 도로 이름에 ‘충절’을 붙여 만들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서 보령시 미산면을 연결하는 도로. 판미로는 도로가 지나는 판교면과 미산면의 각각 앞 글자를 따서 명명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부여군 옥산면을 연결하는 지방 도로. 한마로는 도로가 지나는 한산면의 한 자와 마산면의 마 자를 따서 명명하였다....
교량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자연 및 인공의 교통 장애물을 건널 수 있도록 만든 인공 구조물. 교량은 교통 시설의 일부이며, 수로나 하천, 바다, 계곡, 움푹 꺼진 땅, 인공 시설물 등이 도로의 연결을 저해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저해 시설물을 넘어서 통과하기 위하여 만든 구조물이다. 서천군에도 금강의 지류 등에 여러 교량이 설치되어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를 잇는 다리. 금강대교는 다리가 가설된 금강 하구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원수리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해망동을 잇는 다리. 동백대교는 서천군의 군화이자 군산시의 시화인 동백꽃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동백꽃의 꽃말은 ‘그 누구보다도 당신을 사랑합니다’이며, 동백대교를 통하여 각 지방자치 단체가 미래를 위하여 슬기롭게 상생 발전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금복리에 있는 다리. 금복교(金福橋)는 다리가 가설된 금복리(金福里)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두왕리에 있는 다리. 길산교(吉山橋)는 다리가 가설된 길산천(吉山川)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두왕리에 있는 다리. 북원교(北遠橋)는 원진산(遠進山)의 북쪽에 있다 하여 생겨난 이름으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선암리에 있는 다리. 선암교(仙岩橋)는 다리가 가설된 선암리(仙岩里)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신송리에 있는 다리. 섭다리는 예전에 섶으로 만든 다리가 있어 생긴 이름이다. ‘섶다리’라고도 불렀다고 하며, 섶다리가 있는 마을은 섶다리마을 혹은 섭다리마을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신송리에 있는 다리. 신송교(新松橋)는 다리가 가설된 신송리(新松里)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에 있는 다리. 옥포교(玉浦橋)는 다리가 가설된 옥포리(玉浦里)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태성리에 있는 다리. 용곡2교(龍谷二橋)는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용곡리(龍谷里)에 있는 용곡교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명명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용곡리에 있는 다리. 용곡교(龍谷橋)는 다리가 가설된 용곡리(龍谷里)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월기리에 있는 다리. 월기교(月岐橋)는 다리가 가설된 월기리(月岐里)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죽산리에 있는 다리. 죽산1교(竹山一橋)는 다리가 개설된 죽산리[마서면]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터널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와 율리를 연결하는 터널. 비인터널은 터널이 지나는 비인면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가공리와 황사리를 연결하는 터널. 서천터널은 터널이 지나는 서천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와 당정리를 연결하는 터널. 종천터널은 터널이 지나는 종천면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터미널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철도·버스 노선 등의 시·종착지. 서천군에서 운행하는 버스 터미널로는 서천시외버스터미널과 장항버스정류장이 있다. 서천시외버스터미널은 서천읍에 있으며, 시외버스 노선만 운행하고 있다. 서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도착하는 주요 노선은 서울남부, 서대전, 군산 노선 등이다. 장항버스정류장은 장항읍에 있으며, 시외버스 노선만 운행하고 있다. 장항버스정류장의 주요 노...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 서천시외버스터미널은 1981년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로 29[군사리 184-21]에 문을 열었다. 2010년 터미널 승차대를 기존의 5곳에서 7곳으로 2곳 확장하고, 정류장 입구 보행 통로에 비가림막을 설치하는 등 시설을 대폭 개보수하였다. 정류소 바닥은 점토 블록으로 시공하였으며, 터미널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철도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철로를 통하여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는 설비 및 수송 체제. 철도는 사전적인 의미로는 ‘철로 만들어진 길’이라는 뜻이나, 궤도 위를 달리는 운송 차량을 통칭하기도 한다. 서천군 관내를 지나는 철도는 장항선이 유일하다. 장항선은 일제 강점기 경남철도회사에서 부설한 사설 철도에서 시작되었다. 장항선은 경기도와 강원도, 충청남도 일대의 각종 물자를 운송하여 장항항으로...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화금리에 있는 장항선 기차역. 서천역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호남평야의 쌀을 수탈할 목적으로 경남철도회사에서 충남선을 건립하면서 설치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덕암리에 있는 장항선의 기차역. 장항역은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및 충청북도 일대의 호서 지역과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및 전라남도 일대의 호남 지역을 잇는 장항선 철도역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리에 있는 기차역. 판교역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호남평야의 쌀 수탈에 이용할 목적으로 건립하였다....
항구
-
충청남도 서천군의 연안에 배를 댈 수 있도록 해 놓은 시설. 항구(港口)는 해안에서 배를 정박하고 운항에 필요한 물자들을 공급받을 수 있는 시설을 갖춘 곳을 말한다. 성격에 따라 어항, 수산항, 상항(商港), 무역항 등이 있다. 서천군 내 항구는 규모와 기능에 따라 무역항·연안항·국가 어항·지방 어항·정주 어항으로 구분한다. 서천군 내에는 모두 9개소의 항구가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좁은 해안 어귀에 배가 드나드는 길목. 서천군 내 포구는 국가 어항·지방 어항·정주 어항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모두 9개소의 포구가 있다. 국가 어항은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정 및 관리한다. 지정 조건은 현지 어선 80척 이상, 어선 총톤수가 200톤 이상이어야 한다. 연간 1,000톤 이상의 어획고를 올려 어장 개발이 가능하여야 하며, 연간 100척 이상이...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다사리에 있는 항구. 다사항(多沙港)은 130여 척의 어선이 출입하였으나 선박 접안 시설이 부족하여 인근의 홍원항을 이용하는 등 항구 이용이 쉽지 않았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2010년 지방 어항으로 승격 지정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있는 항구. 마량진항(馬梁鎭港)은 인근 지역에 있는 해안 관광지와 연계한 친수형 항만이다. 지방 어선의 어업 지원 및 수산물 유통 중심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마량포구라고도 한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석리에 있는 항구. 송석항(松石港)은 1978년 4월 24일 지방 어항으로 지정되었다. 서천군은 2019년부터 3년에 걸쳐 송석항의 항구 기능과 어업 종사자들의 어업 경쟁력을 높이고, 항구 일대를 관광 지구로 개발하기 위하여 송석항 일대에 대한 어촌 뉴딜 사업을 추진하였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선양장 등을 건설하여 송석항의 항구 기능을 개선하였다. 또, 항...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월호리에 있는 항구. 월하성항(月下城港)은 1990년 12월 31일 지방 어항으로 지정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신창리에 있는 항구. 장항항(長項港)은 1938년 1월 1일 개항하여, 당시 일제의 수탈을 위한 시설로 운영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에 있는 항구. 홍원항(洪元港)은 어선의 안전한 정박과 원활한 어획물 양육을 위하여 1991년 국가 어항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