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296
한자 長項港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산로 232[신창리 42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38년 1월 1일연표보기 - 장항항 개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5년 - 장항항 국제항 승격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장항항 신항 부두 축조 공사 시행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0년 - 제4차 전국 무역항 기본 계획[2021~2030년] 수립
현 소재지 장항항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산로 232[신창리 421-1]지도보기
성격 항구
면적 330m[접안 시설]|37,900㎡[야적장]|180m[물양장]
전화 041-956-3313[군산지방해양수산청 장항해양수산사무소]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신창리에 있는 항구.

[건립 경위]

장항항(長項港)은 1938년 1월 1일 개항하여, 당시 일제의 수탈을 위한 시설로 운영되었다.

[변천]

장항항은 해방 이후 1965년 국제항으로 승격하여 충청남도 물류의 한 축을 담당하는 중심 항구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산업 구조의 변화와 육상 교통 중심의 교통수단 변화로 물동량이 줄어들면서 장항항의 기능은 쇠퇴하였다. 게다가 갯벌 퇴적이 누적되면서 항구 범위가 축소되었다. 이에 따라 1995년 4월 수립된 국토부의 제1차 항만 기본 계획으로 총공사비 222억 8800만 원을 들여 신항 부두 축조 공사가 이루어졌다. 2020년에는 해양수산부에서 제4차 전국 무역항 기본 계획[2021~2030년]을 수립하여, 어업 활동 지원과 친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지역 항만의 기능을 수행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일조하도록 하고 있다.

[구성]

장항항은 물양장·선착장·방파제·선양장·진입 도로로 구성된다. 신항 부두의 접안 시설은 330m 규모로, 접안 능력은 1만DWT[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2척[하역 능력 148만 톤], 야적장 3만 7900㎡ 규모이다. 물양장의 길이는 180m이며, 접안 능력은 1,000DWT×1척 규모이다. 신항 부두와 물양장의 하역 능력은 148만 톤이며, 공영 부두로서 이용되고 있다. 기존 물양장은 입출항 어선 수의 증가로 접안 시설이 부족하고, 항내 퇴적토의 매몰로 수심이 얕아져 어선 물양장 시설을 새로 확충하였다. 어선 물양장의 길이는 820m로, 방파제 816m, 선양장 20m, 진입 도로 116m 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현황]

장항항에 입출항하는 외항선은 매년 수가 늘어나고 있으나, 연안선의 경우 입출항 선박이 매년 감소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장항항 출입 선박의 수는 줄어들고 있다. 장항항의 신항 부두는 2024년 현재 시멘트, 잡화, 모래 등 수출입 화물과 연안 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권역 항만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1년 기준 441척이 장항항에 입항하였으며, 화물 약 77만 8000톤을 취급하였다. 장항항에서는 시멘트, 광석류, 원목, 비료, 유류 등이 운송되고 있는데, 시멘트의 경우 2019년 32만 1000톤에서 2021년 276톤으로 취급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더불어 비료, 유류도 운송량이 감소하였다. 반면 광석류는 2019년 11만 9000톤에서 2021년 15만 3000톤으로 운송량이 증가하였다. 장항항군산지방해양수산청 장항해양수산사무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