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307 |
---|---|
한자 | 舒川驛 |
영어공식명칭 | Seocheon station |
이칭/별칭 | 충남서천역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역길 57[화금리 277]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중환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30년 10월 22일![]() |
---|---|
개칭 시기/일시 | 1954년 12월 20일![]() |
개칭 시기/일시 | 1960년 7월 1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8년 9월 - 서천역 신축 준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8년 - 서천역 신축 |
이전 시기/일시 | 2008년 - 서천역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 55-6에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화금리 277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서천역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문로 38[군사리 55-6]![]() |
주소 변경 이력 | 서천역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역길 57[화금리 277] |
현 소재지 | 서천역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역길 57[화금리 277]![]() |
성격 | 기차역 |
전화 | 041-953-7788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화금리에 있는 장항선 기차역.
[건립 경위]
서천역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호남평야의 쌀을 수탈할 목적으로 경남철도회사에서 충남선을 건립하면서 설치하였다.
[변천]
서천역은 1930년 10월 22일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5년 5월 1일 충남선이 장항선으로 이름을 바꿈에 따라 서천역은 장항선의 기차역이 되었다. 경춘선 서천역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1954년 12월 20일 충남서천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경춘선 서천역이 경강역으로 역명을 변경하면서, 1960년 7월 1일 다시 서천역으로 역명을 바꾸었다. 1978년 9월 176㎡ 규모의 단층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으며, 이후 장항선 노선 개량 공사에 따라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문로 38[군사리 55-6]에서 2008년 11월 27일 1㎞ 떨어진 현재의 서천읍 서천역길57[화금리 277]로 신축 이전하였다.
[구성]
서천역은 장항선을 경유하는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역이다. 승차권 발매, 여객 승하차 안내, 여객 안전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2008년 화금리에 신축된 지금의 역사는 지상 2층 규모의 현대식 시설을 갖추고 있다. 1층에 맞이방과 자동 발매기, 화장실이 있고, 2층에는 승강장과 고객 대기실이 있다. 용산 방면 승강장 2곳과 익산 방면 승강장 2곳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상 2층 이동 통로에 계단, 에스컬레이터 4기, 엘리베이터 2기가 설치되어 있다. 장애인 전용 3면 포함 96면 규모의 무료 주차장을 갖추고 있다.
[현황]
서천역은 새마을호 정차 기준 웅천역과 장항역 사이에 있으며, 무궁화호 정차 기준 판교역과 장항역 사이에 있다. 장항선 새마을호 상행 5회, 하행 5회 총 10회, 무궁화호 상행 9회, 하행 9회으로 총 18회 정차 역이며, 2024년 현재 일일 약 900명의 승객이 서천역을 이용하고 있다.
서천역을 이용하는 승객은 대부분 서천읍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다. 2019년 현재 서천역의 여객 수송 현황을 살펴보면, 27만 6877명으로 판교역, 서천역, 장항역 등 서천군 내 철도역들 가운데 여객 수송 숫자가 가장 많으며, 수송과 여객의 수입은 12억 3132만 2000원이다. 서천역 인근에 서천군청, 서천교육청, 서천 특화시장 등 주요 시설이 있어 서천군민의 생활 중심권의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