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286 |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판교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중환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7월 29일 - 「도로명주소법」 시행에 따라 ‘종판로’로 명명 |
---|---|
전구간 | 종판로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판교면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종판로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판교면![]() |
성격 | 지방도 |
길이 | 9,120m |
차선 | 왕복 2차선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서 서천군 판교면을 연결하는 지방 도로.
[명칭 유래]
서천군 종천면과 판교면 사이를 잇는 도로이므로, 행정 구역 명칭인 종천면의 종 자와 판교면의 판 자를 따서 종판로로 명명하였다.
[제원]
종판로가 종천면~판교면을 통과하는 구간의 길이는 9,120m이며, 왕복 2차선이다.
[건립 경위]
서문로는 지방도 제617호의 종천면~판교면 구간의 명칭이며, 서천군 장항읍과 보령시 미산면을 연결하는 지방도 제617호 신설에 따라 개통되었다.
[변천]
‘종판로’라는 명칭은 「도로명주소법」에 따라 2011년 7월 29일부터 붙여졌다.
[현황]
종판로는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종천리 종천삼거리에서 서천군 판교면 수성리 수성교차로까지 이어지는 지방도이다. 종판로는 서쪽에 솟아 있는 백골산과 능마산이 이루는 남북 방향의 산맥과 남동쪽의 종천면 중심부에 솟아 있는 문수산 산줄기 사이를 지난다. 능마산과 문수산 사이에 있는 종천저수지를 우회하여 북상하다가 판교면 일대의 충적 평야 지대로 연결된다.
종판로의 중심 노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천군 종천면 종천리 종천삼거리에서 충서로와 접속한다. 이어 종천면 신검교를 지난 뒤, 서천군 판교면 관내로 진입한다. 판교면에서 상좌교, 상일교, 온동터널을 지나 판교면 수성리 수성교차로에서 국도 제4호 대백제로와 접속한다.
국토교통부의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에 의하면 2023년 현재 종판로에 가설된 교량은 종천면에 2개소, 판교면에 3개소가 있다. 종판로의 2023년 현재 일평균 통행량은 1,286대이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910대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소형 화물 304대, 버스 46대, 중형 화물 25대, 대형 화물 1대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