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고속도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279
한자 西海岸高速道路
이칭/별칭 서해안선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비인면|종천면|서천읍|기산면|화양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10월 30일 - 서해안고속도로 서천~군산 간 22.7㎞ 구간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9월 27일 - 서해안고속도로 당진~서천 간 103.7㎞ 구간 개통
준공 시기/일시 2001년 12월 21일연표보기 - 서해안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
전구간 서해안고속도로 - 전라남도 무안군|함평군|영광군|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부안군|김제시|군산시|충청남도 서천군|보령시|홍성군|서산시|당진시|경기도 평택시|화성시|안산시|군포시|시흥시|광명시|안양시|서울특별시 금천구
해당 지역 경유 구간 서해안고속도로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비인면|종천면|서천읍|기산면|화양면지도보기
성격 고속국도
길이 340.8㎞
차선 6~4차선[서천~당진 구간]|4차선[서천~군산 구간]

[정의]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충청남도 서천군을 거쳐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연결하는 고속 국도.

[명칭 유래]

서해안고속도로는 1991년 7월 25일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에 따라 명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서해안에 인접하여 건설되어 서해안고속도로[고속국도 제15호]로 불리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해안선이라고도 불린다.

[제원]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에서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에 이르며, 전 구간 길이는 340.8㎞이다. 서천~당진 구간은 6~4차선으로 103.5㎞, 서천~군산 구간은 4차선으로 23.6㎞에 달한다.

[건립 경위]

서해안고속도로는 기존의 경제 개발축인 경부축으로부터 벗어나 있어 상대적으로 낙후되었지만 간척 자원이나 용수, 미개발 토지 등에 대한 개발 잠재력이 높은 서해안축을 개발하여 국토 균형 발전을 도모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라 건설이 추진되었다. 서해안 지역이 지리적으로 중국과 인접하여 항만 및 공단 개발에 유리한 위치라는 점도 건설 추진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변천]

서해안고속도로 건설이 논의된 것은 1980년대 초반이었지만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1987년부터이다. 1988년 9월에 이르러 기본 조사가 진행되었고 이듬해인 1989년 12월 인천~안산 간 실시 설계와 안산~목포 간 기본 설계가 시작되었다. 건설 재원상의 문제 등으로 서해안고속도로 건설은 구간별로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 1990년 12월 인천~안산 간 구간이 착공되었고, 1994년 7월 6일 인천~안산 간 27.6㎞가 개통되었다. 이어 1996년 12월 17일 안산~안중 간 42.7㎞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1998년 8월 25일 무안~목포 간 23.2㎞ 구간이, 1998년 10월 30일 서천~군산 간 22.7㎞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서해대교 및 송악~당진 간 18.8㎞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 9월 27일 당진~서천 간 103.7㎞ 구간이 개통되고, 이후 군산~무안 간 114.3㎞ 구간이 완공되면서, 2001년 12월 21일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현황]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을 기점으로 하여 전라남도 무안군·함평군·영광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부안군·김제시·군산시, 충청남도 서천군·보령시·홍성군·서산시·당진시, 경기도 평택시·화성시·안산시·군포시·시흥시·광명시·안양시,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을 종점으로 하는 고속도로이다.

서해안고속도로는 충청남도 서천군 지역에서 서면, 비인면, 종천면, 서천읍, 기산면, 화양면 지역 등을 경유한다. 서천 관내에는 3개 IC[나들목]가 있다. 군산IC와 연결되는 화양면 옥포리에 있는 동서천IC는 서천공주고속도로로 연결된다. 서천읍 오석리에 있는 서천IC는 국도 제4호와 연결되며, 비인면 구복리에 있는 춘장대IC는 무창포IC로 연결되며, IC를 나오면 국도 제21호와 연결된다. 비인면 성산리에 서천휴게소가 있다.

서해안고속도로의 개통에 따라 태안해안국립공원이나 변산반도국립공원, 고군산군도 등 서천 지역 인근의 해안 관광 지역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서해안고속도로는 서해 연안의 인천남동공단, 안산산업기지, 시화공단, 아산공단, 군장공단, 대불산업기지 등으로의 상호 물동량 수송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