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159 |
---|---|
한자 | 韓山面 |
영어공식명칭 | Hansan-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진종헌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한산면(韓山面)은 조선 시대 한산군(韓山郡)의 소재지였던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한산’이라는 명칭은 고려 전기부터 사용하였다. 즉, ‘큰 고을’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며, ‘이 나라의 마을’이라는 뜻으로도 해석을 하나 ‘이름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가장 많이 해석된다.
[형성 및 변천]
삼국 시대 마산현에 속하였고, 남북국 시대 임천 가림군의 영현인 마산현 소속이었다. 고려 전기 가림군의 한산현에 속하였고, 조선 전기에는 한산군 소속이었다. 한산면은 고려 시대부터 건지산(乾止山)을 진산으로 하여 한산군의 치소를 담당하였던 고을이다. 조선 후기 한산읍의 북쪽에 있다 하여 북부면이라 하며 15개의 리를 관할하였다. 이후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상면의 송림리 외 19개 동리와 동하면의 화산리 외 7개 동리, 임천군 홍상면 포촌리·교항리·고읍리의 일부를 통합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으로 개설되었다. 죽촌리·종지리·호암리·성외리·동산리(童山里)·지현리·원산리·여사리·나교리·동지리·송림리·축동리·송산리·송곡리·단상리·단하리·마양리·연봉리·온동리·용산리·신성리 등 21개의 리를 관할하였고, 그 후 1973년 7월 1일 송림리를 마산면에 편입시키고 화양면 구동리를 흡수하여 2024년 현재 21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자연환경]
한산면 중심에는 일명 한산평야라 불리는 넓은 충적 평야 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평야는 경지 정리가 이루어져 수도작 농업이 발달하였는데, 북쪽의 축동저수지에서 관개하여 농업용수를 대고 있다. 남쪽으로는 금강 하구와 접하여 원산천과 단상천이 합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왕개산, 봉황산, 월성산, 서쪽으로는 건지산, 기린봉, 어성산, 관두봉, 감투봉 등의 산지가 발달하여 있다.
[현황]
2024년 현재 면적은 25㎢이며, 인구는 2022년 12월 현재 1,400가구, 2,383명[남자 1,128명, 여자 1,255명]이다. 한산면은 서천군 동남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부여군 양화면, 서쪽으로 기산면·화양면, 남쪽으로 금강, 북쪽으로 마산면과 접하고 있다. 한산면은 21개의 법정리[죽촌리·종지리·호암리·성외리·동산리(童山里)·지현리·원산리·여사리·나교리·동지리·구동리·축동리·송산리·송곡리·단상리·단하리·마양리·연봉리·온동리·용산리·신성리], 29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주민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성씨로는 한산 이씨(韓山 李氏), 고령 박씨(高靈 朴氏), 밀양 박씨(密陽 朴氏), 김해 김씨(金海 金氏), 전주 유씨(全州 柳氏)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한산면의 주요 기관으로는 한산면행정복지센터가 지현리에 있고, 이외에도 한산파출소, 한산우체국, 한산농협 등이 있다. 교육 시설로는 한산초등학교, 한산중학교, 충남디자인예술고등학교가 있다. 매월 1일과 6일에 한산오일장이 열리는데, 특히 여름철에는 새벽 모시장이 형성되어 모시를 사기 위하여 전국에서 상인들이 모여든다. 교통로로는 국도 제29호와 지방도 제613호가 동산리에서 교차하고 있다.
한산면은 세모시와 소곡주로 이름이 알려진 지역이다. 이에 매년 6월이면 한산모시문화제가 개최되고, 매년 10월에는 한산소곡주축제가 개최된다. 주요 문화유산으로는 서천 건지산성[사적]을 비롯하여 한산향교[충청남도 기념물], 지현리 삼층석탑[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이상재선생생가지[충청남도 기념물] 등이 있다. 금강 하구의 신성리 갈대밭 등 자연 명소도 있는데,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이면 서천문화원에서 주최하는 대보름제가 치러진다. 또한, 한산면에는 바디장[국가무형유산], 한산모시짜기[국가무형유산], 한산소곡주[충청남도 무형유산], 서천부채장[충청남도 무형유산],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충청남도 무형유산] 등과 관련된 무형유산이 집중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