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재선생생가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554
한자 李商在先生生家址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종단길 71[종지리 26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00년경 - 이상재 선생 생가 안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26년경 - 이상재 선생 생가 사랑채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955년연표보기 - 이상재 선생 생가 유실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2년 - 이상재 선생 생가 복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 이상재 선생 생가 복원
문화재 지정 일시 1990년 12월 31일연표보기 - 이상재선생생가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84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상재선생생가지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소재지 이상재선생생가지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종단길 71[종지리 263]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월남이상재선생전시관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종단길 74-3[종지리 190]지도보기
성격 생가
지정 면적 1,434㎡
소유자 서천군
관리자 서천군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종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상재의 생가터.

[개설]

이상재선생생가지(李商在先生生家址)월남 이상재(李商在)[1850~1927]의 생가터로 보수 정화된 유적지이다. 이상재 선생이 태어나서 18세까지 살았다. 이상재는 1850년 한산에서 태어난 근대 시기 교육자, 종교가, 정치가였다. 과거 응시에 실패하고 박정양의 문객이 되어 함께 외국에 다녀왔다. 홍영식의 인정을 받아 우정국주사가 되었으나 갑신정변으로 낙향하였다. 박정양이 주미공사가 되자 이상재 또한 1등서기관이 되어 박정양을 수행하였다. 미국을 다녀온 이후 서재필과 함께 독립협회를 조직하고 만민공동회를 개최하는 등 계몽 운동에 앞장섰다. 독립협회 사건, 개혁당 사건 등으로 투옥되었다. 을사조약 이후 일본을 시찰한 뒤에 정치를 떠났다. 황성기독교청년회에서 활동하였고 3·1운동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후 조선교육협회 회장, 조선일보 사장에 취임하였다. 또한 신간회를 조직하여 창립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이상재선생생가지는 초가 2동, 월남이상재선생전시관 1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월남이상재선생전시관 앞에는 1955년 변영로가 지은 ‘월남선생비문’이 있다. 한산중학교에는 이상재의 동상이 있으며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공원에는 1975년 세운 이상재추모비가 있다.

[변천]

이상재 선생 생가의 안채는 1800년경 건립되었고, 사랑채는 1826년경 건립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훼손되고 유실되다가 1955년 사라졌다고 한다. 이후 1972년과 1980년 복원하였다.

[위치]

이상재선생생가지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종단길 71[종지리 263]에 있다. 서천군 한산면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으로 가는 길에 있다.

[현황]

이상재선생생가지에서 생가는 안채, 사랑채, 우물, 외양간, 창고로 구성되어 있다. 중부 지방의 전통적인 초가 형태이다. 사랑채와 안채를 중심으로 일자형으로 나뉘며 전체 구도는 ‘□’자 형태의 초가이다. 정면은 4칸, 측면은 2칸 규모이며 솟을대문을 두었다. 생가 옆에 있는 월남이상재선생전시관에는 서적, 임명장 등 유물 244점이 보관되어 있다.

이상재선생생가지는 1990년 12월 31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8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상재선생생가지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 지역에서 이상재의 업적을 기리고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는 공간으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