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1295 |
---|---|
한자 | 解夢 俗信語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경희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꿈이나 해몽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개설]
해몽 속신어(解夢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중 꿈이나 해몽과 관련된 속신어이다. 신앙 형태 문장인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꿈에’와 관련된 어휘가 들어가 있다. 일반적으로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서천군의 해몽 속신어는 “꿈에 수레바퀴가 부러지면 부부 금슬이 깨진다.”처럼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꿈에’와 같은 어휘가 들어가 있다.
[서천군의 해몽 속신어]
해몽 속신어는 기능 요소인 ‘꿈에’가 들어가지 않으면 해몽 속신어로 성립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칼이 상머리 위에 있으면 재수가 있다.”는 해몽 속신어가 아니다. ‘꿈에’라는 어휘가 들어가야 속신어로 기능하게 된다. 이처럼 문장에 ‘꿈에’나 꿈과 관련된 조건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서천군에서 조사한 해몽 속신어는 116개 정도인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꿈에 개구리가 울고 달아나면 구설이 있다.
-꿈에 거북이 사람의 어깨를 넘으면 명이 짧다.
-꿈에 쓰레질이나 쟁기질을 하면 해로운 일이 생긴다.
-꿈에 앵무새를 보면 부인에게 구설이 있다.
-꿈에 흰말을 타고 달리면 병을 얻는다.
-꿈에 곱게 차리고 나가면 신변에 해롭다.
-꿈에 용이 우물로 들어가면 관가에서 욕을 보게 된다.
-꿈에 우레가 날 때 삿갓이나 우산을 쓰고 나가면 해롭다.
-꿈에 똥오줌을 잃으면 재물에 손해를 본다.
-꿈에 이웃집에서 연기 나는 불을 가져오면 그 집과 싸운다.
서천군의 해몽 속신어는 대체로 부정적인 결과절로 이루어져 있다. 부정적이지 않은 결과절을 가진 해몽 속신어로는 “꿈에 칼이 대문으로 들어오면 큰 부자가 된다.”, “꿈에 바람이 불어서 몸이 움직이면 이사 갈 징조이다.” 정도밖에 보이지 않는다. 해몽 속신어는 현대적 의미에서 보면 과학성이 매우 떨어지지만 일상의 언어와 행동에 있어 항상 신중을 기하려는 삶의 자세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