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속신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294
한자 風水 俗信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경희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풍수지리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개설]

풍수 속신어(風水 俗信語)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민간 속신어 중에서 풍수지리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속신어이다.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다. 서천군의 풍수 속신어는 “묏자리의 혈이 나비혈일 때 비석을 세우면 자손이 해롭다.”처럼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풍수지리와 관련된 어휘가 들어 있다.

[서천군의 풍수 속신어]

풍수 속신어는 속신어의 기능 요소에 풍수지리와 관련된 어휘가 들어 있는 속신어이다. 서천군의 풍수 속신어는 금기어에서 찾아보기가 어렵다. 현재 조사된 속신어는 직접적인 풍수지리는 아니지만, 풍수지리와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다.

-무덤 속에 차돌이 들어가면 후손들의 머리가 희어진다.

-산소에 물이 들어오면 재앙이 생긴다.

-집을 지은 집터가 낮으면 그 집의 복이 나간다.

-까치가 집을 높게 지으면 그해는 홍수가 있고, 낮게 지으면 가뭄이 든다.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풍수 속신어에는 한 집안이나 개인의 운세가 땅이나 자연에서 비롯된다는 생각이 반영되어 있다. 즉, 풍수 속신어에는 자연의 이치를 살피고 자연의 순리에 어긋나지 않게 조심하여야 해로운 일이 생기지 않는다는 생각이 내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