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신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290
한자 俗信語
이칭/별칭 민간 속신어,금기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경희

[정의]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민간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신앙 형태의 말.

[개설]

속신어(俗信語)는 속담이나 격언과 비슷하게 짧은 문구로 되어 있다. 민간 속신어, 금기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하면 ~한다’와 같이 조건절과 결과절이 인과 논리 속에 결합되어 있다.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속신어는 기능에 따라 어업 금기어, 내세 속신어, 당위 속신어, 치료 속신어, 풍수 속신어, 해몽 속신어, 관상 속신어, 전조 속신어, 주술 속신어, 세시 속신어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속신어의 구조와 유형]

속신어는 한 문장에 반드시 조건절과 결과절이 결합되어 있다. 즉 ‘~하면[조건절] ~이 된다[결과절]’라는 문장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예를 들면 “생쌀 먹으면 어머니가 죽는다.”, “꿈에 용을 보면 좋다.”와 같은 문장들이다. 속신어의 유형은 기능 요소에 따라 열 가지 유형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제시한 일반 속신어, ‘죽어서’라는 말이 들어가는 내세 속신어, ‘마땅히’의 뜻을 함축하는 당위 속신어, 병을 낫게 하는 민간요법과 관련 있는 치료 속신어, 풍수지리와 관련된 풍수 속신어, 꿈이라는 말이 들어가는 해몽 속신어, 신체와 관련된 관상 속신어, 앞으로 일어날 자연 현상을 나타낸 전조 속신어, 어떤 현상이 일어나기를 기원하는 주술 속신어, 세시 풍속과 관련된 세시 속신어로 나눌 수 있다.

[속신어의 가치]

1. 서천군에서 전승되는 속신어의 절반이 일반 속신어에 해당한다. “밥을 그릇 뒤쪽에서부터 먹으면 도둑놈이 된다.”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제시한 속신어들이다. 서천군에서 전승되는 일반 속신어는 “기름병을 입으로 핥으면 유언을 못한다.”, “뜨물로 불을 끄면 눈먼 자식을 낳는다.”, “뱃일을 하다가 신발 한 짝이 바다에 빠지면 다른 짝도 버려야 해롭지 않다.” 등에서처럼 결과절이 대부분 부정적이다. 이와 달리 결과절이 긍정적인 일반 속신어는 “바다에서 시신을 보았을 때 수습하여 묻어 주면 복을 받는다.”와 같은 문장을 들 수 있는데, 예가 매우 드물다. 서천군에서 전승되는 일반 속신어는 약 320개 정도이며 1988년과 2009년에 발행된 『서천군지』 등에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2. 내세 속신어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남의 호박을 따 오면 죽어서 부어서 죽는다.”, “자기 아내를 자주 때리면 죽어서 장작 껍질을 벗긴다.”

3. 당위 속신어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닷새 엿새에는 서쪽에 손이 있어서 이날 일을 하지 않으면 해롭다.”, “쌀을 꾸어 줄 때 먼저 조금 떠 놓고 주면 쌀이 쌓인다.”

4. 치료 속신어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두드러기가 났을 때 다른 성씨의 뒷간의 짚을 뽑아다가 태우고 소금을 뿌리면 낫는다.”, “아이들이 경기를 할 때 부엌의 흙을 걸러 먹으면 가라앉는다.”

5. 풍수 속신어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무덤 속에 차돌이 들어가면 후손들의 머리가 희어진다.”, “까치가 집을 높게 지으면 그해는 홍수가 있고, 낮게 지으면 가뭄이 든다.”

6. 해몽 속신어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꿈에 거북이 사람의 어깨를 넘으면 명이 짧다.”, “꿈에 칼이 대문으로 들어오면 큰 부자가 된다.”

7. 관상 속신어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여자가 대머리면 늦게 시집을 가야 한다.”, “남자가 장단지에 털이 없으면 인정이 없다.”

8. 전조 속신어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낮에 천장에서 거미가 줄을 타면 손님이 온다.”, “눈이 집으로 들이치면 초상이 난다.”, “닭이 초저녁에 닭장에 오르면 쌀값이 오른다.”

9. 주술 속신어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구멍 뚫린 돌을 외양간에 두면 암소를 낳는다.”, “첫 모를 심을 때 처음 세 포기는 왼손으로 심어야 자가품이 나지 않는다.”

10. 세시 속신어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정초에 죽을 먹으면 1년 내내 궁하게 산다.”, “정월 보름날에 문구멍을 바르면 1년 내내 불길한 일만 생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