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47
한자 氣候
영어공식명칭 Climate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대기 현상의 종합적인 평균 상태.

[개설]

충청남도 서천군은 대기후(大氣候)의 측면에서 온대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 또한 아시아 계절풍 지대에 속하므로 여름에는 해양성의 습윤한 남서풍이 불고, 겨울에는 기압 차로 인하여 대륙성 북서풍이 불어 한랭 건조하다. 따라서 서천군의 날씨는 여름과 겨울이 대조적으로 나타난다. 서천군의 연평균 기온은 12.5℃이며, 연평균 풍속은 1.8㎧이고, 연 강수량은 1175.8㎜이다.

계절별로 보면, 3~5월의 봄은 평균 기온 11.1℃, 합계 강수량 212.6㎜, 평균 풍속 2.2㎧로 나타난다. 6~8월의 여름은 평균 기온 24.2℃, 합계 강수량 634.5㎜, 평균 풍속 1.9㎧이다. 9~11월의 가을은 평균 기온 14.3℃, 합계 강수량 242.8㎜, 평균 풍속 1.6㎧이다. 12~2월의 겨울은 평균 기온 0.3℃, 합계 강수량 85.9㎜, 평균 풍속 1.6㎧로 나타난다.

[기온]

서천군은 연평균 12.5℃의 기온이 나타나며, 월별 기온 분포는 1월이 -1.1℃로 가장 낮고, 8월이 25.8℃로 가장 높다. 충청남도 전체와 비교하였을 때 충청남도의 연평균 기온은 12.3℃로, 서천군은 평균보다 0.2℃ 더 높은 값을 보인다. 연중 가장 온난한 달과 한랭한 달의 기온 차를 나타내는 기온의 연교차는 26.9℃이다. 겨울 1월의 최저 기온은 -5.7℃까지 낮아지며, 여름 8월의 최고 기온은 30.4℃까지 높아진다. 일 최고 기온과 일 최저 기온의 평균 기온 차를 나타내는 기온의 일교차는 10℃로 나타난다.

[강수]

서천군의 연 강수량은 1175.8㎜이며, 가장 적은 강수를 보이는 달은 1월로 23.2㎜이며, 가장 많은 강수량을 보이는 달은 7월로 266.4㎜이다. 3~5월의 봄 강수량은 212.6㎜로 전체 강수량의 18.1%를 차지하며, 6~8월의 여름 강수량은 634.5㎜로 전체 강수량의 54%를 차지한다. 9~11월의 가을 강수량은 242.8㎜로 전체 강수량의 20.6%를 차지하며, 12~2월의 겨울 강수량은 85.9㎜로 전체 강수량의 7.3%를 차지한다.

[바람]

서천군은 겨울에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한랭 건조한 북서풍의 영향을 받고, 여름에는 북태평양에서 발생한 북태평양 기단으로 동남풍의 영향을 받는다. 또, 서천군은 겨울의 북서풍도 서해를 거쳐 오고, 여름의 태풍이나 남동풍도 서해나 호남평야의 위를 거쳐 오기 때문에 개방 해안인 서천군은 서풍이 강하다. 따라서 연중 강풍 때에는 전선이 계속하여 몰리고, 이러한 서풍은 지형적으로 충청남도 부여군과 충청남도 논산시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 장항에는 ‘봄과 가을이 없다’는 속담이 있듯이, 해양의 서풍이 강하여 봄과 가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기후 변화]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으로 온실가스 농도를 예측하는 RCP6.0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본 2100년까지의 서천군의 연평균 기온은 2023년 현재 대비 2040년대에 0.6℃, 2090년대에 0.9℃ 상승할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서천군의 2071~2100년 연평균 기온의 상승 정도는 +2.2℃로 우리나라 미래 연평균 기온 상승 폭 +2.4℃에 비하여 0.2℃ 낮다. RCP6.0 시나리오에 의하면 서천군은 2070년대에 아열대 기후에 속할 것으로 예측되며, RCP2.6 시나리오에 의하면 2100년대까지는 아열대 기후에 속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