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24
한자 地形
영어공식명칭 Topography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정의]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표면의 기복 및 형태.

[개설]

충청남도 서천군은 충청남도 보령시, 부여군, 전북특별자치도와 접한다. 각각의 경계는 대부분 산지나 하천으로 구분되고 있다. 보령시와의 경계는 하천과 일부 산지로, 부여군과의 경계는 산지와 일부 하천으로, 전북특별자치도와의 경계는 금강으로 구분되고 있다.

[지질]

서천군의 지질 특성은 대보 화강암, 편마암, 충적토, 대동계 문수산층, 편암류, 흑운모 화강암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산지]

서천군은 차령산맥 남단 남사면에 있다. 차령산맥은 강원도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도의 중앙부를 거쳐 서천에 이르는 구릉성 산맥이다. 연속성이 강하지만 노년기 지형이기 때문에 평균 고도가 약 600m이다. 서천군의 대표적인 산으로는 마산면 월명산, 한산면 건지산, 문산면 천방산, 종천면 희리산, 비인면 월명산 등이 있다. 서천군의 구릉 지대는 과도한 침식으로 능선이 중단되었고, 잔구처럼 보이는 것도 존재한다. 잔구는 준평원 위에 남아 있는 굳은 암석의 언덕을 말한다.

[하천]

서천군의 하천은 모두 서쪽과 남쪽으로 흐르며, 크게 금강으로 유입되는 하천과, 서해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구분된다. 금강으로 유입되는 하천은 나교천, 단상천, 광암천, 옥포천, 길산천이 있다. 그중 길산천은 서천군 최대의 금강 지류이며, 길이는 23㎞이다. 서천군 문산면 금복리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봉선저수지를 거치고, 서천읍 동쪽을 지나 마서면 도삼리에서 금강에 유입한다. 길산천의 주요 지류로는 내동천, 석마천, 동산천, 화금천, 계동천, 송내천, 원수천 등이 있다.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은 솔리천, 죽산천, 판교천, 종천천, 신합천, 개야천 등이 있다. 그중 판교천은 서해로 유입하는 서천군 내의 하천 중 가장 큰 하천이며, 길이는 19.5㎞이다. 판교면 복대리에서 발원하여 서천 읍내 쪽으로 흐르다가 종천면 장구리로 흐르며 바다로 유입한다.

[평야]

서천군은 하천이 서쪽과 남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평야가 주로 서쪽이나 남쪽에 형성되어 있다. 서천군에서 가장 큰 평야인 길산평야길산천 유역에 분포한다. 길산평야기산면, 화양면, 마서면, 서천읍, 시초면 등 5개 면에 걸쳐 형성된 평야이며, 판교천 유역의 평야와도 연결된다. 한산평야단상천 유역에 분포하는 평야이며, 남부 지역의 신성리옥포리까지 확장되어 있다. 장항평야솔리천과 원수천 유역에 분포하며, 구릉지에 둘러싸여 있는 형태를 보인다. 대부분의 면적이 장항읍 시가지로 이용되고 있다. 서면평야신합천에 형성된 평야이며, 근년에 개발한 간척 평야가 많다. 그 외에도 비인평야, 종천평야, 죽산평야 등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국토정보플랫폼(https://map.ngii.go.kr)
  • 디지털트윈국토(https://www.vworld.kr)
  • 서천군청(https://www.seocheo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