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23
한자 地質
영어공식명칭 Geological Features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의 지각을 구성한 암석이나 지각의 구조 및 역사.

[특성]

서천군의 지체 구조의 형성을 한국의 지질 연대표로 보면, 시생대에 옥천계(沃川系), 마천계(摩天系), 화강 편마암계(花崗 片麻巖系)가 형성되었고, 이후 고생대의 조륙 운동(造陸 運動), 중생대의 조산 운동(造山 運動)을 겪었다. 약 1억 5000만 년 전 중생대 쥐라기 대보 운동(大寶 運動)으로, 중국 방향의 차령산맥, 노령산맥 등이 형성되었다. 신생대에는 제3기 중엽 지괴 운동(地塊 運動)이 있었고, 제3기 말에서 제4기 홍적세에 걸쳐 화산 활동이 있었다.

서천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 시대 화강 편마암, 고생대 함열계(咸悅系) 편암류와 함열계 규암, 중생대 쥐라기 대동계 희리산층과 대동계 문수산층, 중생대 백악계 불국사층군 화강암, 신생대 제4기 제4계 충적층 등 다양한 시대에 걸쳐 형성되었다. 서천군은 전체적으로 선캄브리아 시대 화강 편마암이 분포하여 있다. 중생대 대동계 희리산층과 대동계 문수산층은 서천군 북동쪽 산지에 분포하여 있으며, 북쪽에서 서쪽으로 향하는 산지 지형의 능선을 따라서는 고생대 함열계 규암이 분포하고 있다. 서천군 기산면 외 일부 지역에는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불국사층군 석영맥이 자리하고 있다. 논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역들은 신생대 제4기 충적층이며, 자갈, 모래, 점토, 이토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농업에 유리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중생대 중기의 쥐라기부터 백악기 초까지 한반도 전역에 걸쳐 일어난 대규모 지각 변동인 대보 조산 운동으로 형성된 대보 화강암이 차령산맥을 중심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오대산에서 시작하여 서천까지 이어진 차령산맥의 끝자락에 있는 서천군에도 대보 화강암이 분포한다.

[서천의 토양통 분류]

서천군의 지질을 토양통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천군의 대부분의 산지는 아산통(雅山統), 오산통(烏山統), 덕산통(德山統)이 우세하며, 논 지역은 춘포통(春浦統), 서천군의 남쪽에는 만경통(萬頃統)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그 밖에도 임곡통(林谷統), 전북통(全北統), 지산통(芝山統), 우곡통(牛谷統) 등이 분포한다. 아산통은 저구릉 내지 구릉지에서 발달하며, 화강 편마암과 운모 편암과 유사한 모재의 잔적층에서 기인한다. 오산통은 화강 편마암, 운모질 편암, 편암으로부터 기인하며, 산악지에서 발달하는 토양이다. 덕산통 역시 화강 편마암, 편암의 잔적토에서 기인하였으며, 산악지에 주로 분포한다는 특징이 있다. 춘포통의 경우, 암회색의 미사질 양토를 모재로 하며, 큰 강과 하천이 섞여 만들어진 넓은 하해 혼성 평탄지에서 발달한다. 토양 배수는 약간 불량이며, 투수성도 느려 주로 논으로 이용된다. 만경통 역시 하해 혼성 평탄지에서 발달하며, 배수 정도는 약간 불량, 투수성은 매우 느림 정도로 춘포통과 같이 농경지로 이용된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서천군청(https://www.seocheon.go.kr)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 흙토람(http://soil.rd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