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667 |
---|---|
한자 | 李季甸 |
영어공식명칭 | Yi Gyejeon |
이칭/별칭 | 병보(屛甫),존양재(存養齋),문열(文烈),한산군(韓山君),한성군(韓城君)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근호 |
[정의]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가계]
이계전(李季甸)[1404~1459]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병보(屛甫), 호는 존양재(存養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우문관대제학 이곡(李穀)이고, 할아버지는 판문하부사를 지낸 이색(李穡)이다. 아버지는 중추원사 이종선(李種善)이고,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지봉산군사 진호(秦浩)의 딸 풍기 진씨(豐基 秦氏)이고, 아들은 이우(李堣)·이파(李坡)·이봉(李封)이다. 형은 이계주(李季疇)·이계린(李季疄)이고, 동생은 이계원(李季畹)·이계정(李季町)이다.
[활동 사항]
이계전은 1404년(태종 4) 한산[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태어났다. 1427년(세종 9) 친시 문과에 급제한 뒤 집현전에 들어가 수찬·부교리·직집현전·직제학 등을 지내며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또한 저화 사용의 폐단을 지적하거나 축성·공법(貢法) 등의 사안에 대하여 의견을 개진하는 등 여러 정책의 입안 과정에도 참여하였다. 1445년 세자[훗날 문종(文宗)]가 대리청정을 할 때는 우보덕으로 서연에 참석하기도 하였다.
이계전은 1447년 승정원동부승지를 거쳐 우부승지와 좌부승지 등을 역임하였고, 1450년(문종 즉위년)에는 승정원도승지로 있으면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1452년 이조참판을 거쳐 1453년(단종 1) 병조참판과 병조판서를 역임하였고,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정난공신에 녹훈되고 한산군(韓山君)에 책봉되었다. 1455년(세조 1) 다시 병조판서에 제수되어 세자이사를 겸하였으며, 좌익공신 2등에 녹훈되고 한성군(韓城君)에 책봉되었다. 이계전은 1456년 판중추원사를 지냈고, 1458년 영중추원사를 거쳐 1459년 경기도체찰사로서 경기 지역 군병에 대한 점고(點考)를 시행하러 나갔다가 9월에 사망하였다.
[묘소]
이계전의 묘소는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청안로 154-89[사곡리 330-1]에 있다. 이계전묘는 1996년 10월 26일 여주시 향토유적 제16호로 지정되었다.
[상훈과 추모]
이계전은 사망한 뒤 문열(文烈)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으며,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봉명산로 51-25[봉림리 51]에 있는 이계전 부조묘에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