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는 전통 시장. 전통 시장 또는 재래시장은 소상인들이 모여서 갖가지 물건을 직접 판매하는 전통적 구조의 시장을 의미한다. 3일장이나 5일장과 같이 사람들이 특정 장소에 모임으로써 열리는 정기 시장이 일반적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도시화로 인하여 지역민들에 의한 상시 수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설 시장이 보편화되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에 있는 수산물 특화 시장. 서천군의 주요 상업지는 군청 소재지인 서천읍과 장항선 종착역이 입지한 장항읍, 그리고 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천군에는 서천특화시장을 비롯하여, 장항전통시장, 한산장, 판교장, 비인장 등 5개 정기 시장이 있다. 총점포 수는 448개, 부지 면적은 5만 8767㎡, 판매 면적은 1만 1557㎡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신창리에 있는 전통 시장. 서천군의 주요 상업지는 군청 소재지인 서천읍과 장항선 종착역이 입지한 장항읍, 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천군에는 장항전통시장을 비롯하여, 서천특화시장, 한산장, 판교장, 비인장 등 5개 정기 시장이 있다. 총점포 수는 448개, 부지 면적은 5만 8767㎡, 판매 면적은 1만 1557㎡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전통 시장. 서천군의 주요 상업지는 군청 소재지인 서천읍과 장항선 종착역이 입지한 장항읍, 그리고 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천군에는 비인장을 비롯하여, 서천특화시장, 한산장, 판교장, 장항전통시장 등 5개 정기 시장이 있다. 총점포 수는 448개, 부지 면적은 5만 8767㎡, 판매 면적은 1만 1557㎡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에 있는 전통 시장. 서천군의 주요 상업지는 군청 소재지인 서천읍과 장항선 종착역이 입지한 장항읍, 그리고 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천군에는 판교장을 비롯하여, 한산장, 서천특화시장, 장항전통시장, 비인장 등 5개 정기 시장이 있다. 총점포 수는 448개, 부지 면적은 5만 8767㎡, 판매 면적은 1만 1557㎡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에 있는 전통 시장. 서천군의 주요 상업지는 군청 소재지인 서천읍과 장항선 종착역이 입지한 장항읍, 그리고 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천군에는 한산장을 비롯하여, 서천특화시장, 장항전통시장, 판교장, 비인장 등 5개 정기 시장이 있다. 총점포 수는 448개, 부지 면적은 5만 8767㎡, 판매 면적은 1만 1557㎡이다....
산업단지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산업단지. 산업단지는 정부의 계획에 따라 제조업 활동을 위하여 따로 지정하여 다수의 공장이 대규모로 집적한 장소를 일컫는다. 산업단지는 제조업 활동으로 인한 공해나 오폐수에 의한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고, 개별 입지로 인한 난개발을 막음으로써 토지 개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제조업 활동에 필요한 각종 기반 시설의 공통적 사용 및 관련 업종...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옥북리에 있는 국가 산업단지. 산업단지는 국가 산업단지, 일반 산업단지, 농공단지, 도시첨단단지 등으로 유형이 구분된다. 이 가운데 국가 산업단지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정하는 공업 단지이다. 국가 기간산업 및 첨단 과학 기술 산업 등을 육성하기 위하여 조성한다. 중앙 행정 기관의 장은 국가 산업단지의 지정이 필요하다...
농공단지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원수리에 있는 농공단지. 농공단지는 농어촌 지역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 자립과 지역 주민의 현지 취업을 도모하여 도시와 농어촌의 소득 격차를 줄임으로써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고자 조성한 공업 단지이다. 입주 업체에 대하여 금융·세제·기술 지원을 한다. 1983년 말 제정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에 의하여 지정되었으며, 1984년 시범적으로 7개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석촌리에 있는 농공단지. 농공단지는 농어촌 지역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 자립과 지역 주민의 현지 취업을 도모하여 도시와 농어촌의 소득 격차를 줄임으로써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고자 조성한 공업 단지이다. 입주 업체에 대하여 금융·세제·기술 지원을 한다. 1983년 말 제정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에 의하여 지정되었으며, 1984년 시범적으로 7개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석촌리에 있는 농공단지. 농공단지는 농어촌 지역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 자립과 지역 주민의 현지 취업을 도모하여 도시와 농어촌의 소득 격차를 줄임으로써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고자 조성한 공업 단지이다. 입주 업체에 대하여 금융·세제·기술 지원을 한다. 1983년 말 제정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에 의하여 지정되었으며, 1984년 시범적으로 7개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월리에 있는 농공단지. 농공단지는 농어촌 지역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 자립과 지역 주민의 현지 취업을 도모하여 도시와 농어촌의 소득 격차를 줄임으로써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고자 조성한 공업 단지이다. 입주 업체에 대하여서는 금융·세제·기술 지원을 한다. 1983년 말 제정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에 의하여 지정되었으며, 1984년 시범적으로 7개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김 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된 지역. 해양수산부는 김의 생산·양식·가공·제조·유통·수출·판매 등과 관련된 우리나라 김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육성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2023년 3월 7일 ‘제1차 김 산업 진흥구역 사업’ 대상지로 서천군, 신안군, 해남군을 지정하였다. 서천군은 김 산업 진흥구역으로 지정된 3개 지방 자치 단체 가운데 하나이며, 국비...
저수지
-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인공 수리 시설. 저수지(貯水池)는 일정한 구역 내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한 인위적 집수, 도수, 배수 시설이며, 한국농어촌공사 및 기초 자치 단체가 관리한다. 저수지는 유효 저수량에 따라 1종 시설과 2종 시설로 구분하는데, 유효 저수량 30만㎥를 기준으로 하여 이상이면 1종 시설, 미만이면 2종 시설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삼월리에 있는 저수지. 일제 강점기 산미 증식 계획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던 1920년대 서천 지역의 미곡 생산을 증식하는 방법으로 수리조합 설립이 추진되었다. 1922년부터 서천 수리조합의 설치 논의를 본격적으로 진행하여, 동부저수지, 서부저수지[흥림저수지] 등을 축조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신농리에 있는 저수지. 문산저수지는 1957년 12월 15일 착공하여, 1964년 12월 4일 준공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흥림리와 종천면 지석리·석촌리에 걸쳐 있는 저수지. 서부저수지는 1926년 일제의 산미 증식 계획의 일환으로 서천 수리조합 설립과 함께 조성되었다. 서부저수지 조성으로 종천면 지석리 일부, 석촌리 일부, 흥림리 일부, 판교면 등고리 일부, 동지리 일부 등의 마을이 수몰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에 있는 저수지. 안치저수지는 1943년 9월 4일 착공하여, 1945년 9월 20일 준공하였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상좌리에 있는 저수지. 종천저수지는 1956년 10월 21일 착공하여, 1962년 5월 31일 준공하였다. 종천저수지 주변으로 신검리 북동쪽에 개복다리의 이름을 딴 개복다리마을이 있었다. 개복다리는 고려 시대 돌로 놓은 다리이며, 조선 시대에도 사용되었다. 개복다리 유적지에서 고려 시대 ‘개복사(開福寺)’ 명문이 찍힌 기와가 출토되었다. 개복사지(開福寺址)는...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주항리에 있는 저수지. 주항저수지는 1946년 11월 1일 착공하여, 1958년 8월 28일 준공하였다. 주항저수지는 간척 사업 이전에는 배가 닿았다....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축동리, 종지리, 마산면 송림리, 안당리에 걸쳐 있는 저수지. 축동저수지는 1945년 9월 1일 착공하여, 1955년 5월 31일 준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