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부도·유부도갯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373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승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 유부도·유부도갯벌을 포함한 서천갯벌 람사르 습지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 유부도·유부도갯벌을 포함한 서천갯벌 ‘서해안 갯벌’로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 등재
전구간 유부도·유부도갯벌 - 충청남도 서천군
해당 지역 소재지 유부도·유부도갯벌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지도보기
성격 섬|갯벌
면적 0.77㎢[섬 면적]|약 6.61157㎢[갯벌 포함 면적]
둘레 4.2㎞[해안선]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에 있는 모래섬과 일대 연안 습지.

[개설]

갯벌은 해수면이 높아졌을 때는 잠기고 해수면이 낮아졌을 때는 드러나는 연안의 평탄한 지역을 말한다. 즉, 조류로 운반되어 온 미세한 퇴적물이 파도가 잔잔한 해안에 쌓여 생기는 해안 퇴적 지형이다.

갯벌은 갯지렁이, 조개, 칠게 등이 서식하고 있어 섭금류인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노랑부리백로와 도요물떼새가 서식하며 수금류인 개리, 큰기러기를 비롯한 많은 오리·기러기류에게 먹이와 휴식처를 제공하는 중요한 서식처이다.

서천갯벌의 해안선은 장항읍, 마서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에 걸쳐 72.5㎞에 달한다. 자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안 사구와 모래 갯벌이 잘 발달하여 있다. 서천갯벌에는 조개류, 해조류, 꽃게, 주꾸미 등이 서식하고 있다. 2021년 7월 26일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서면 월호리 월하성부터 장항읍 송림리 유부도 해안가 일원, 총 6809만㎡의 서천갯벌을 ‘서해안 갯벌’로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에 등재하였다.

서천군 해안 일대의 갯벌로는 송림갯벌, 솔리갯벌, 월포갯벌, 장구만갯벌, 다사리갯벌, 장포리갯벌, 선도리갯벌 등이 있다. 그중 서천군 서면 월호리, 비인면 다사리, 장포리, 종천면 당정리유부도 일대의 연안 습지를 습지 보호 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유부도는 고려 시대 많은 선비가 유배되어 생을 마친 유배지로 알려져 있으며, 서천군 연안 인근 15개 섬 중 유일한 유인도이다. 유부도갯벌은 2009년 람사르 습지로 인정되었다.

[명칭 유래]

유부도는 17~18세기에 제작된 고지도나 장계록에는 ‘입우도(立牛島)’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섬의 형상이 서 있는 소와 비슷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일제 강점기 이후부터 ‘유부도(有父島)’라고 기록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피란 온 부자(父子)가 다른 섬에 머물게 되었는데 아버지가 살던 섬은 유부도, 아들이 살던 섬은 유자도라고 부른 데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

[자연환경]

유부도는 충청남도 최남단에 있는 작은 섬이다. 면적은 0.77㎢, 갯벌을 포함한 면적은 약 6.61157㎢이다. 해안선 길이는 4.2㎞이다. 유부도갯벌은 강어귀에서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면서 형성되는 기수역(汽水域)에 있는 갯벌이며, 생물 다양성이 우수하다. 125종의 물고기와 95종의 대형 저서동물이 서식하고 있고, 기수 생태계의 생물 자원을 먹이로 삼는 검은머리갈매기, 넓적부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등 수많은 멸종 위기 조류가 정주하거나 장거리 이동의 중간 기착지로 활용하고 있다.

유부도의 철새들 중에서 검은머리물떼새, 붉은어깨도요와 같은 세계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 등재된 국제적 멸종 위기종 13종이 발견되었다. 저어새와 같은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종이 16종, 황조롱이 등 국가유산청 지정 천연기념물 9종이 서식하고 있다.

유부도·유부도갯벌검은머리물떼새 3,000여 마리, 즉 전 세계 개체 수의 약 1%가 겨울철 이주하여 새끼를 낳는 장소이다. 검은머리물떼새는 우리나라에서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Ⅱ급, 천연기념물, 세계 자연 보전 연맹 적색 목록 관심 대상 범주로 분류되어 있는 새이다.

[현황]

유부도는 1960년대 염전과 김 양식으로 많은 노동 인구가 유입되었다. 1974~1997년 정신 질환자 수용 기관 장항수심원을 운영하여 한때 인구가 350명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2024년 5월 현재, 거주하는 주민은 49세대 78명으로 파악된다. 2024년 6월 현재 육지와 연결되는 정기 운항편은 없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