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081 |
---|---|
한자 | 長項邑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양윤정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읍.
[명칭 유래]
조선 후기 서천군 남부면 관할 지역이었던 장암진(長岩津)의 장(長) 자와 항리(項里)의 항(項) 자를 따서 장항리(長項里)라 한 데서 장항읍(長項邑) 이름이 비롯되었다.
[형성 및 변천]
삼국 시대 백제 설림군에 속하였고,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와 고려 시대에는 서림군에 속하였으며, 조선 시대 서천군 남부면에 속하였던 지역이다. 이후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당시 서부면의 신산리 외 18개 리와 개곡면의 신리, 상루리, 동변리의 각 일부, 동부면의 어리 일부, 마길면, 남부면 구절리 일부를 통합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서남면으로 개설되었다. 그리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부면의 은포리 외 15개 동리와 남부면의 봉근리와 역리의 각 일부, 서부면의 동죽리 일부, 판산면의 고산리 일부, 한산군 남상면의 선소리, 신아리의 각 일부 및 서하면의 월포리 일부를 통합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마동면으로 개설되었다. 또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조선 후기 서천군 남부면의 장암진, 항리 일대를 합병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서남면 장항리로 개설되었는데, 1931년 6월 1일 서남면 장항리 일부가 마동면에 편입되어 마동면 장항리로 개편되었고 기존 서남면 장항리는 서남면 항리로 개편되었다.
그 후 1920년대 이후 장항을 중심으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1938년 10월 1일 읍제 실시로 서남면과 마동면이 장항읍과 마서면으로 편제되었는데, 서남면의 옥남리, 옥동리, 항리와 마동면의 장항리, 산서리, 수동리를 분리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으로 개설되었다. 창선1리와 창선2리, 신창리 중심의 시가지 지역은 1929년 간척지를 메워 형성되었다. 1929년 간척 사업 시작, 1930년 10월 장항항 개항, 1931년 8월 경남철도 장항선 개통으로 인구가 급증함으로써 장항읍이 신설되는 결과를 낳았다.
[자연환경]
비교적 넓은 평지를 이루고 있으며, 마서면과 접하고 있는 장항읍의 북쪽과 동쪽은 높이 100m 이하의 낮은 구릉지이다. 창선리에서 발원한 송림천이 서쪽으로 흘러 송림리에서 서해로 합류하고, 남쪽에 흐르는 금강은 서해로 합류한다.
[현황]
2024년 현재 장항읍의 면적은 18.94㎢이며, 인구는 2023년 12월 31일 현재 5,876가구,1만 1497명[남자 5,873명, 여자 5,624명, 한국인 1만 925명, 외국인 572명]이다. 장항읍은 서천군에서 가장 큰 지역으로 서천군의 서남쪽에 있다. 동쪽과 북쪽으로 서천군의 마서면, 서쪽으로 서해와 접하고 있고, 남쪽으로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와 마주하고 있다. 2024년 현재 10개 법정리[송림리, 원수리, 창선1리, 창선2리, 신창리, 옥남리, 옥산리, 성주리, 장암리, 화천리], 2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장항항이 1952년 국항으로, 1964년 7월 국제항으로 승격되었고, 원수리에는 1990년과 2004년 두 차례에 걸쳐 장항농공단지가 조성되었다. 2014년에는 서천군 마서면과 장항읍에 걸쳐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장항읍은 근현대 항구 도시를 기반으로 한 산업형 도시가 되었다. 장항읍행정복지센터는 장항읍 창선1리에 있으며, 장항읍 신창리에는 장항전통시장이 있다. 교육 기관으로 장항초등학교, 송림초등학교, 장항중앙초등학교, 장항중학교, 장항공업고등학교, 장항고등학교가 있다. 장항읍의 남쪽에는 동서로 장산로가 뻗어 있고, 남북으로는 동쪽에 국도 제4호[대백제로], 서쪽에 지방도 제617호[장천로], 장마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으로 장항선이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