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지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78
한자 人文 地理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진종헌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의 인문 지리적 특성과 환경.

[개설]

서천군은 충청남도의 서남부에 있으며, 인구는 2023년 12월 31일 현재 5만 1086명이고, 면적은 2024년 6월 현재 366.124㎢이다. 서천군은 북쪽으로 충청남도 보령시, 동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남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와 접하고 있다. 군산시를 사이에 두고 금강이 서해로 유입하고 있으며, 금강의 풍부한 유량 덕분에 서천평야라 불리는 곡창 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금강 하구를 공유하는 군산시와는 금강하구둑동백대교, 금강대교가 두 도시를 연결하고 있다.

한산모시는 대표적인 특산물이며, 한산모시짜기는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산소곡주 역시 잘 알려진 특산물이다. 춘장대해수욕장, 금강하굿둑 등이 대표적인 관광지이며, 서천갯벌, 국립생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의 생태 관광 명소가 있다. 또한 장항선 철도, 서해안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등이 교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행정구역]

서천군은 조선 후기까지 한산군·비인군·서천군의 독자적인 3개 군으로 존재하였다. 18세기 말 제작된 『여지도(輿地圖)』에 따르면 3개 군을 합쳐 26면이었으나 1914년 일제에 의하여 통폐합되면서 현재의 행정 구역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2024년 6월 현재 2읍 11면, 172개 법정리, 315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서천읍은 13개 법정리[30개 행정리], 장항읍은 10개 법정리[21개 행정리], 마서면은 17개 법정리[37개 행정리], 화양면은 20개 법정리[31개 행정리], 기산면은 13개 법정리[20개 행정리], 한산면은 21개 법정리[29개 행정리], 마산면은 16개 법정리[25개 행정리], 시초면은 10개 법정리[17개 행정리], 문산면은 8개 법정리[18개 행정리], 판교면은 15개 법정리[23개 행정리], 종천면은 10개 법정리[22개 행정리], 비인면은 11개 법정리[22개 행정리], 서면은 9개 법정리[24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

서천군의 인구는 2023년 12월 31일 현재 5만 1086명이며, 2만 6543세대가 있다. 인구 밀도는 약 140.39명/㎢에 달하여 도시화된 지역의 특성을 보여 준다. 세대 수는 2만 6666세대로 세대당 인구는 1.87명이다. 서천군의 인구는 지난 20여 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왔다. 2000년에 인구가 7만 4736명이었으며, 지난 22년 동안 인구 규모는 1/3[2만 3337명] 가까이 줄었다. 반면에 세대수는 2000년 2만 6415세대에서 큰 변화가 없고, 세대당 인구는 2000년 2.83명에서 2022년 1.87명으로 크게 줄었다. 이는 사회적인 변화와 인구 구조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서천군의 외국인은 지난 20여 년 동안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등록 외국인 기준 2000년 141명이던 외국인은 2022년 1,435명으로 10배 이상 늘었다. 총인구 대비 외국인 비율은 2000년 0.19%에서 2022년 2.79%로 늘어나 의미 있는 인구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간 외국인 남자의 비율이 급격하게 높아졌다[2022년 남성 1,222명, 여성 313명]. 2022년 현재 서천군의 외국인을 국적별로 볼 때, 베트남인이 533명으로 서천군 전체 외국인의 37.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261명, 중국 125명, 태국 32명, 대만 23명, 미얀마 21명 등의 순서로 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한편, 인구 규모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65세 이상 고령층의 인구 규모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으며, 평균 연령은 지난 5년간 51세에서 56세로 증가하고 있다. 절대 인구의 감소와 함께 인구 구조의 변화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업과 교통]

서천군은 공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한 도시이다. 잘 알려진 장항제련소는 1936년 설립되어 광복 이후에도 계속 운영되다가 현재는 LS메탈 장항공장이 되었다. 그 외에 한솔제지 장항공장, 베르상스 퍼시픽, 풍농 장항공장, 한국중부발전 신서천화력발전본부 등이 있다. 산업단지로는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 1단계 사업이 2021년 6월 마무리되었다. 총 사업비는 3550억 원이었다. 14개 업체 464명을 고용하고 있다. 이 외에 장항농공단지, 종천농공단지, 서면김가공특화단지 등이 있다.

서천에는 서해안고속도로 서천나들목, 춘장대나들목, 서천공주고속도로 동서천나들목, 동서천분기점이 있다. 철도역으로는 장항선 판교역, 서천역, 장항역이 있다. 주요 도로로는 고속국도 제15호인 서해안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51호인 서천공주고속도로와 국도 제4호, 국도 제21호, 국도 제29호가 있다. 이외에도 지방도 제607호, 지방도 제611호, 지방도 제613호, 지방도 제617호와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가 있다. 특히 국도 제4호는 장항읍서천읍, 군산시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이다.

서해와 접한 지리적 특성을 갖고 있는 서천군은 연안에 9개의 항구가 있다. 국가무역항인 장항항, 국가 어항인 홍원항, 연안항인 마량진항, 다사항, 송석항, 월하성항과 정주 어항인 월포항, 장포항, 송림항 등이 있다.

[관광]

서천9경은 서천의 대표적인 관광지를 거의 포함하고 있다.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과 해돋이, 신성리 갈대밭, 한산모시마을, 문헌서원, 춘장대해수욕장, 국립생태원국립해양생물자원관, 금강하굿둑 철새 도래지, 장항송림산림욕장장항스카이워크, 유부도, 서천 갯벌 등이 대표적인 관광지들이다. 국립생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서천군 조류생태전시관 등을 연계하는 생태 관광이 중요한 관광 테마 중 하나이다. 또한 한산모시문화제는 지역의 대표적인 축제이다.

서천군은 해양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기존 부두 시설을 마리나 선착장으로 개발 중이며, 대표적인 항구로는 홍원항, 마량진항[마량포구], 다사항이 있다. 마량진항은 일출과 낙조를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홍원항에는 신선한 수산물이 풍부하다. 산으로는 천방산, 희리산, 월명산[비인면]이 있는데, 특히 천방산은 서천을 대표하는 산으로 판교면, 문산면, 시초면의 3개 면에 걸쳐 있다. 7개의 봉우리와 함께 수려한 풍광을 자랑하는 서천 지역의 영산이다. 그 외 명소로는 희리산자연휴양림, 서천 치유의 숲, 서천특화시장, 장항도시탐험역, 판교, 시간이 멈춘 마을, 아리랜드 등이 있다.

한산면에서 자란 모시풀을 이용하여 옷감을 만드는 기술인 ‘한산모시짜기’는 201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서천갯벌을 포함하는 한국의 갯벌은 2021년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 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