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762
한자 行政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유나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의 공공 문제를 비롯한 공공 서비스의 생산 및 분배와 관련된 지방자치 단체의 제반 활동.

[행정 구역]

충청남도 서천군의 총면적은 366.12㎢으로 충청남도 총면적인 8,226㎢의 4.5%에 해당한다. 충청남도 내 15개 시군 중 가장 큰 공주시는 864.10㎢에 달하고 가장 작은 계룡시는 60.72㎢이며, 서천군은 도내에서 두 번째로 작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서천군은 행정 구역이 2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이 큰 읍·면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판교면 40.03㎞[10.93%], 마서면 38.04㎢[10.39%], 서면 33.35㎢[9.11%], 화양면 31.60㎢[8.63%], 비인면 31.39㎢[8.57%], 문산면 28.23㎢[7.71%], 서천읍 27.74㎢[7.58%], 마산면 26.37㎢[7.20%], 종천면 26.09㎢[7.13%], 한산면 25.01㎢[6.83%], 기산면 20.97㎢[5.73%], 장항읍 18.93㎢[5.17%], 시초면 18.37㎢[5.02%] 순이다.

[행정조직]

서천군의 행정 조직은 1963년 당시 본청에는 공보실, 내무과, 재무과, 산업과, 사업소로 보건소, 농촌지도소가 있는 조직에 불과하였다. 이후 정부 시책 및 증가하는 행정 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조직 개편을 거쳐 왔다. 1970년도 6개·1980년도 10개·2020년도 16개의 실과로 꾸준한 성장을 하였으며, 2022년도에는 17개 실과 85개 팀, 2개 직속기관, 2개 사업소, 13개 읍면으로 구성되었다. 2021년 1월 출자·출연 기관으로 서천군 지역가능지역재단이 출범하였다.

서천군 행정 조직은 1980년대에 사회 복지, 보건·위생, 환경 등의 새로운 행정 수요의 증대로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을 위한 삶의 질 향상을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개편된 것이 특징이다. 관광객 유치, 관광지 개발 및 관리, 모시문화제 등 각종 축제를 추진하고 전담하는 부서를 설치하였다. 2015년도에는 투자 기업 유치, 산업 단지 및 농공 단지 조성과 관리, 대규모 숙박 시설 유치, 대학 설립 추진 등의 업무 수행을 위하여 투자유치과를 설치하고 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통하여 서천 지역 내 투자를 촉진함으로써 지역 산업 구조의 고도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행정 인력]

서천군 공무원의 규모는 1970년도 360명이었으나, 2021년에 762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공무원 1명당 군민의 수도 1970년도 406명이었으나, 2021년 67명으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한편, 서천군 역시 농경 사회와 산업화 시대를 거치고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공무원의 직렬이 많이 세분화되었다. 일반직의 경우는 행정직이 전체 공무원의 39.8%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편이며, 사회복지직, 토목·건축·지적 등 시설직, 세무직, 농촌지도직, 농업·보건 등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다. 5급 이상 직급은 타 직렬에 비하여 행정직이 많으며, 6급의 경우도 행정직 35%, 시설직 12.2%를 차지하고 있다. 7급 이하 역시 행정직이 많은 분포를 보인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에는 새마을운동 등 지역 개발 수요가 많아지면서 공무원 수가 증가하여 서천 지역 공무원 1인당 인구수는 1970년도의 406명에서 1980년도에는 257명으로 줄어들었다. 1980년대 이후 사회 복지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공무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1990년도 공무원 1인당 군민의 수는 151명으로 감소세를 이어 갔다. 1990년대 말 예기치 못한 국제 금융 위기가 닥치면서 희망퇴직, 명예퇴직 등을 통한 대대적인 인력 구조 조정으로 많은 공무원들이 공직 사회를 떠나게 되었다. 공무원 1명당 인구수는 2000년도 111명, 2005년 99명, 2010년 93명, 2015년 88명, 2020년 70명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2021년에도 67명으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농촌 인구의 급격한 감소가 하나의 요인이며, 행정 수요의 증가와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공무원 수의 증가도 공무원 1인당 담당 인구수 감소의 요인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