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토잡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075
이칭/별칭 동티잡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민속 의례

[정의]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동토로 말미암아 병이나 재앙이 닥쳤을 때 행하는 민속 의례.

[개설]

동토(動土)는 돌이나 나무, 땅 따위를 잘못 건드려서 지신(地神)를 분노하게 함으로써 재앙을 불러오는 것을 일컫는다. 동티라고도 한다. 동토의 원인은 다양한데, 그중에서 가장 흔한 것이 임의로 주택을 훼손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건물에 못을 친다든지 헛간의 구조물을 수선하는 등의 일을 하다가 동토가 난다. 심지어 건물 내부에 있는 특정 사물을 이동하거나 집 안에 물건을 들이는 일도 동토의 원인이 된다. 이렇게 동토가 나게 되면 당사자는 심하게 앓게 되는데,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동티 났다’, ‘동티 걸렸다’라고 표현한다.

서천 지역에서는 동토가 났을 때 동토잡기 또는 동티잡기를 행한다. 동토잡기를 하려면 먼저 점을 치는 무속인 등에게 물어 증상을 진단하는데, 일반적으로 동토의 원인이 되는 물건 앞에서 고추를 태워서 이때 매운 냄새가 나면 해당 물건이 원인이 아니라고 보고, 반대로 매운 냄새가 나지 않으면 해당 물건이 동토의 유발 인자라고 본다. 동토로 확인되면 동토에 대한 주술적 처방을 시도하는데, 동토의 원인에 맞추어 제물을 준비하고 치성을 드리거나 사흘간 저녁마다 고추를 태운다.

[절차]

서천 지역의 동토잡기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고추를 태워 동토를 제거하는 것이다. 동토의 원인이 되는 물건이나 사물 앞에서 저녁마다 매운 고추를 태운다. 이렇게 고추를 태우기를 사흘간 반복한다. 두 번째는 동토의 원인이 된 신 앞에 제물을 차려 놓고 비손하는 것이다. 삼신의 격노로 동토가 들었을 경우 삼신에게 흰무리떡[백설기], 미역, 밥을 차려 놓고 비손한다. 또 동토를 제거하고자 동티의 유발 인자 앞에 저녁 무렵 밥, 나물, 물을 3그릇씩 차려 두는 사례도 전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서천 지역에는 동토와 관련한 여러 금기, 민간요법 등이 전하여 오고 있는데, 이를테면 동토가 났을 때 나무의 밑둥치에서 약쑥을 뜯어다가 태우거나, 다른 성을 가진 세 집의 구정물을 얻어다가 반복하여 뿌리거나, 동토가 난 물건 앞에서 사흘간 저녁에 고추를 태우거나, 집 안 네 귀퉁이를 절굿공이로 찧는 시늉을 하며 “동토 잡자!”라고 외친다든지 하면 낫는다고 한다. 또, 동토를 예방하고자 한다면 동토가 꺼려지는 물건을 변소에 며칠간 두었다가 들인다든지, 물건을 들이거나 집안일을 해야 할 때는 손 없는 날에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