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1029 |
---|---|
이칭/별칭 | 이월초하루,백중머슴날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종익 |
[정의]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음력으로 2월 초하룻날과 7월 보름에 집안 일손을 돕는 머슴을 위로하고 하루를 쉬게 하는 풍속.
[개설]
머슴날 은 전통 시대에 농가에서 농사일과 집안일에 힘써 온 머슴에게 하루 동안 휴식을 부여하고 옷을 지어 주고 용돈이나 곡식을 주는 날이다. 머슴을 여럿 둔 집에서는 별도로 머슴을 위하여 술과 음식을 준비하여 대접하여 그동안의 노고를 위로하기도 한다.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는 머슴날 풍속을 주로 음력으로 2월 1일이나 7월 15일[백중날]에 행하는데, 이날을 각각 이월초하루, 백중머슴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월초하루는 겨우내 쉬었던 머슴들을 불러들여 다시 한 해 동안 농사일을 잘 꾸려 가기를 당부하려는 뜻에서 이루어졌고, 백중머슴날은 시기상 벼농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힘이 드는 김매기를 마무리하였을 때니 그간의 노고를 위로하고자 하는 뜻에서 이루어졌다.
[연원 및 변천]
머슴날 의 유래는 분명치 않다. 다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경도잡지(京都雜志)』에 등장하는 ‘머슴떡’ 기록을 보면 머슴날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동국세시기』, 『경도잡지』 기록에 따르면, 정월대보름 무렵에 곡식 이삭을 볏짚단에 싸서 볏가릿대를 세우면서 풍년을 기원하는데, 볏가릿대에 묶어 둔 곡식을 내려 떡을 만들어서 머슴에게 나이 수만큼 먹게 하면 머슴들이 한 해 동안 건강하다고 한다.
[절차]
서천 지역 민간에 전승되던 머슴날은 음력으로 2월 1일과 7월 15일이다. 이러한 이월초하루와 백중머슴날에는 머슴들에게 옷을 지어 주거나, 약간의 돈 또는 곡식을 주어 하루를 쉬게 한다. 특히 남산 주변의 마을들에서는 백중날에 일꾼들이 모두 남산 꼭대기에 서는 장에 놀러 나갔다 장에서 실컷 놀고 저녁 늦게 돌아오는데, 장에서는 이웃 마을 사람들과 어울려 힘겨루기도 할 겸 씨름판을 벌였다고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서천 지역에서는 노동력의 상태를 보고 머슴을 상중하로 구분하였는데, 머슴들 가운데 근력이 있고 소를 부릴 줄 아는 머슴을 상머슴으로 쳤다. 중머슴은 소를 부릴 줄은 모르지만 노동력이 괜찮은 이가 해당한다. 아직 근력이 미미한 청소년은 하머슴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