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상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349
한자 動物相
영어공식명칭 Fauna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종국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의 산과 들, 강과 바다에 서식하는 동물.

[개설]

2023년 현재 충청남도 서천군에 서식하는 동물은 총 1,290종이 확인되었다. 조류 249종, 포유류 14종, 양서류와 파충류 24종, 곤충 883종,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85종, 담수어류 35종이다. 곤충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조류가 많다.

[조류]

금강 하구를 비롯하여 산림과 농경지, 강, 하천 등 새들이 살 수 있는 환경을 고루 갖춘 서천군 일대에서 확인된 조류는 총 249종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전체 조류 573종의 43.5%에 해당한다. 특히 금강 하구와 유부도·유부도갯벌에는 서천군 일대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새들이 서식한다. 개체 수로는 금강 하구가 가장 많고, 종별로는 유부도·유부도갯벌이 가장 많다. 금강 하구의 작은 섬인 유부도 일대에 서식하는 조류 109종 중 70.0%인 73종이 물새류이다.

서천군 일대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 조류는 총 37종이다.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Ⅰ급은 황새, 저어새, 노랑부리백로, 매, 흰꼬리수리, 청다리도요사촌, 넓적부리도요 등 7종이다.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Ⅱ급은 개리, 큰기러기, 고니,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새호리기, 물수리, 독수리, 새매, 참매, 큰말똥가리, 뜸부기, 검은머리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수리부엉이 등 30종이다. 이 중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조류는 황새, 저어새, 노랑부리저어새, 노랑부리백로,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독수리, 뜸부기, 새매, 참매, 수리부엉이, 큰고니, 흰꼬리수리 등이다.

[포유류]

서천군 일대에서 확인된 포유류는 총 14종이다. 우제목 2종[고라니, 멧돼지], 식육목 6종[너구리, 삵, 고양이, 수달, 오소리, 족제비], 토끼목 1종[멧토끼], 설치목 4종[등줄쥐, 집쥐, 다람쥐, 청설모], 첨서목 1종[두더지]이며 식육목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멸종 위기 야생 생물은 수달과 삵이 확인되었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Ⅰ급인 수달은 저수지와 서해로 유출되는 하천, 금강 수변 구역에서 발견되었고,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Ⅱ급인 삵은 서천군 북부 산림 지역과 금강 하구 일대에서 관찰되었다.

[양서류와 파충류]

양서류와 파충류는 물과 육지를 오가며 먹이 사슬에서 피식자와 포식자 사이의 연결 고리 역할을 한다. 서천군에는 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맹꽁이, 금개구리 등 양서류 13종과 도마뱀, 표범장지뱀, 능구렁이, 유혈목이, 살모사, 무자치 등 파충류 11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로 강변이나 해안 사구에서 관찰되는 표범장지뱀은 가까운 장래에 멸종될 가능성이 매우 커서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서천 지역의 대표적인 멸종 위기종으로 꼽힌다. 맹꽁이와 금개구리도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곤충류]

해발 고도가 낮은 서천 지역은 나비 종류의 곤충이 비교적 높은 서식 밀도를 보여 준다. 경작지 주변이나 산림의 초입에 형성되어 있는 숲과 초지에서 나방, 딱정벌레, 벌, 노린재 종류의 곤충군 밀도가 높게 나타난다. 서천군 일대에서 확인된 육상 곤충은 나비류 398종, 딱정벌레류 178종, 벌류 115종, 노린재류 90종, 메뚜기류 24종, 파리류 43종, 잠자리류 24종, 집게벌레류 4종, 바퀴벌레류 2종, 사마귀류 4종, 약대벌레류 1종 등 총 883종이다.

서천군 일대에서 관찰된 육상 곤충 중에는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대모잠자리도 있다. 이외에 국가 적색 목록 94종, 한반도 고유종 11종, 국외 반출 승인 대상종 133종, 기후 변화 생물 지표종 3종[넓적배사마귀, 각시메뚜기, 남방노랑나비]도 확인되었다.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은 하천이나 호수 등 담수에서 서식하는 생물 중 눈으로 확인 가능하며 주로 수중의 바닥에서 서식하는 무척추동물을 가리킨다. 서천군 일대에서 확인된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은 85종이다. 비곤충류는 편형동물류 1종, 연체동물류 17종, 환형동물류 6종, 절지동물류 중 연갑류 6종으로 총 30종이다. 수서 곤충류는 하루살이류 9종, 잠자리류 13종, 노린재류 7종, 뱀잠자리류 1종, 딱정벌레류 7종, 파리류 8종, 날도래류 9종, 나비류 1종으로 총 55종이다. 수서 곤충류가 전체 분류군의 64.7%를 차지한다.

[담수어류]

서천군 일대에서 담수어류 35종 2,173개체를 조사한 결과, 개체 수가 가장 많은 우점종은 잉엇과의 피라미가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송사릿과의 송사리가 많았다. 기타 우세종은 떡납줄갱이, 밀어, 치리 순이었다. 어류 분류군으로 보면 잉엇과가 23종, 미꾸릿과가 3종, 동사릿과와 망둑엇과가 각각 2종이었고, 1종만이 채집된 과는 동자갯과, 바다빙엇과, 송사릿과, 가물칫과, 검정우럭과 등이었다.

[참고문헌]
  • 『서천군지』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09)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https://species.nibr.go.kr)
  • 국립생태원(https://www.nie.re.kr)
  • 서천군청(https://www.seocheo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