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209
한자 文山面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진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83년 1월 15일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등고리에서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등고리로 이속
변천 시기/일시 1983년 1월 15일 -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금덕리에서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금덕리로 이속
성격 법정면
면적 28.23㎢
가구수 719가구
인구[남/여] 1,204명[남 610명|여 594명]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문장면(文章面)의 문(文) 자와 두산동면(豆山洞面)의 산(山) 자를 따서 문산면(文山面)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삼국 시대 백제 설림군(舌林郡)에 속하였으며,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와 고려 시대에는 서림군(西林郡)에 속하였다. 1413년(태종 13) 서천군 두산면과 문장면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문장면[문장리, 북산리, 등고리, 금덕리 지역]과 두산면[신농리, 금복리, 수암리, 지원리, 구동리, 은곡리 지역]을 병합하여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으로 개설되었다. 1983년 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에 따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등고리와 금덕리의 2개 리가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에 편입되었다. 현재 문산면신농리, 문장리, 북산리, 금복리, 수암리, 지원리, 구동리, 은곡리의 8개 리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환경]

문산면은 지리적으로 서천읍, 마산면, 시초면의 접경지로 차령산맥의 남단에 있는 산악사면지대(山岳斜面地帶)에 있으며, 주된 지질은 대보화강암(大寶花崗巖)이다. 서천군의 북부 산악 지대에 속하여 평야가 드물고 상류의 하곡에 곡간분지(谷間盆地)가 형성되어 있다. 주요 산으로는 북쪽부터 원진산, 봉림산, 천방산이 있으며, 가장 남쪽에는 금성산이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도마천과 동산천이 있다. 도마천이 원진산에서 발원하여 문산저수지에 모이다가 다시 동부저수지에서 한산천과 합류하여 길산천을 이루어 금강에 흘러들며, 동산천이 북산리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서천읍 두왕리에서 길산천에 합류한다.

[현황]

2024년 현재 문산면의 면적은 28.23㎢이며, 인구는 2022년 12월 현재 719가구, 1,204명[남자 610명, 여자 594명]이다. 문산면은 서천군 북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마산면, 서쪽으로 판교면, 남쪽으로 시초면서천읍, 북쪽으로 부여군 옥산면과 접하고 있다. 8개의 법정리, 18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문산면에 거주하는 주요 성씨는 풍양 조씨(豐壤 趙氏), 평해 구씨(平海 丘氏), 언양 김씨(彦陽 金氏), 안동 권씨(安東 權氏), 수원 백씨(水原 白氏) 등이 있다. 주민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일부 양계 등 가축을 길러 소득을 올리고 있다.

주요 기관으로는 신농리에 문산면행정복지센터, 문산우체국, 문산마을도서관, 서천농협 문산지점 등이 있다. 교육 시설로는 문산초등학교가 있다. 의료 시설로는 문산보건지소가 면민들의 건강을 담당하고 있다. 교통로로는 지방도 제611호[서문로]가 면의 동쪽을 남북 방향으로 지나 서천읍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과 연결된다. 문화유산으로는 수암리삼층석탑[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 있으며, 이외에도 서천 수암리 고분1, 서천 수암리 고분2, 수암리사지, 천주교 작은재 줄무덤 터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