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서천문화대전 > 서천향토문화백과 > 삶의 터전(지리) > 동식물 > 동물상
-
충청남도 서천군 연안의 바다에서 서식하는 십각목 꽃겟과의 게. 꽃게는 우리나라 동해 북부 지역을 제외한 전 연안에 분포하는데, 특히 서해 연안에 많이 서식한다. 충청도에서는 ‘꽃그이’라고도 부르고 강원도에서는 ‘날개꽃게’라고도 부르며 한자어는 ‘화해(花蟹)’이다. 서해 바다에서 갓 잡아 올린 서천 꽃게는 전어와 함께 가을 별미의 대명사로 꼽힌다. 서천군에서는 2018년 서천을 대표...
-
충청남도 서천군 연안에 서식하는 청어목 전어과의 바닷물고기. 전어는 우리나라 전 연안에 서식하며 일본, 중국, 인도, 폴리네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전어잡이는 9~11월이 제철인데 우리나라 서남해안에서는 그물을 이용하여 많이 잡는다. 산란기인 봄부터 여름까지는 대부분 영양이 알로 가기 때문에 맛도 덜하고 비린내도 많이 난다. 수온이 점차 내려가는 시기인 9월과 10월에 잡은 전어가...
-
충청남도 서천군 연안의 바다에서 서식하는 문어목 문엇과의 연체동물. 주꾸미는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 걸쳐 넓게 분포하지만 서식 밀도는 서해가 높다. 주꾸미는 충청남도와 전라남도에서는 ‘쭈깨미’, 경상남도에서는 ‘쭈게미’라고도 부른다. 서천군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서면 마량리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의 동백꽃이 절정을 이루는 이른 봄철이면 주꾸미잡이가 한창이다. 주꾸미는 산란을...
조류
-
충청남도 서천군의 갯벌에서 겨울을 나는 기러기목 오릿과의 철새. 전 세계 생존 개체 수가 6만~8만 마리 정도 되는 국제 보호종이다.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와 헤이룽장성, 몽골, 사할린 북부 지역에서 번식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양쯔강, 대만,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우리나라의 주요 월동지는 한강과 임진강의 하구 및 금강 하구이며, 천수만, 주남저수지, 낙동강 하구 등에서...
-
충청남도 서천군의 섬에서 번식하고, 서천 지역 갯벌과 유부도에서 월동하는 검은머리물떼샛과의 조류. 검은머리물떼새는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모든 갯벌에서 관찰된다. 사람이 살지 않는 섬에서 적은 수가 번식하는 텃새이기도 하지만, 주로 겨울 철새이다. 서천군의 군조(郡鳥)이기도 한 검은머리물떼새는 금강 하구에 위치한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의 유부도와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 노루섬 등 서천군...
-
봄, 가을 이동 시기에 충청남도 서천군의 유부도와 서천 갯벌에 머물다 가는 도요목 도욧과의 나그네새. 넓적부리도요는 전 세계적으로 360~600개체만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세계적인 멸종 위기종이다. 갯벌 간척 및 하굿둑 건설 등 개발 사업과 환경 오염 등으로 지금도 감소 추세에 있다.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 걸쳐 있는 베링해 연안이 주 번식지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 동부, 동남...
-
충청남도 서천군의 무인도 노루섬에서 번식하고 유부도와 서천 갯벌에서 먹이 활동을 하는 황새목 백로과의 여름 철새. 전 세계 생존 개체 수가 2,600~3,400마리 정도로 추정되는 국제 보호종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러시아의 일부 섬에서 번식하고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한다. 서천 지역에서는 무인도인 마서면 남전리 노루섬에서 여러 개체가 번식하고...
-
충청남도 서천군의 무인도에서 번식하고 서천 지역 갯벌에서 무리를 이루어 먹이 활동을 하는 황새목 저어샛과의 여름 철새. 저어새는 동아시아 지역에만 서식하는 국제적 멸종 위기종이다. 2021년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8개국 400여 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저어새 동시 센서스 조사 결과, 저어새의 전 세계 생존 개체 수는 5,222개체로 확인되었다. 전 세계 번식 개체군의 9...
-
봄, 가을 이동 시기에 충청남도 서천군의 유부도와 갯벌에서 머물다 가는 도요목 도욧과의 나그네새. 청다리도요사촌은 전 세계 생존 개체 수가 1,000마리 미만으로 추정되는 세계적인 희귀종이다. 아시아 대륙에 주로 분포하며 러시아 동부와 사할린 등에서 번식한 뒤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홍콩, 대만을 거쳐 이동하여 말레이반도, 태국, 방글라데시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번식지에서 월동...
-
충청남도 서천군에 서식하는 황새목 황샛과의 조류. 황새는 전 세계 생존 개체 수가 2,500개체 이하인 멸종 위기종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목록[Red List]에 위기종[EN]으로 분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Ⅰ급에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1968년에는 천연기념물 제19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