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655
한자 權擘
영어공식명칭 Gwon Byeok
이칭/별칭 대수(大手),습재(習齋)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수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20년연표보기 - 권벽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43년 - 권벽 식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1년 - 권벽 광국원종공신 녹훈
몰년 시기/일시 1593년연표보기 - 권벽 사망
출생지 서천 - 충청남도 서천군
묘소|단소 권벽 묘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성석동
사당|배향지 화산서원(華山書院)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 152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안동
대표 관직|경력 장례원판결사

[정의]

조선 전기 서천 출신의 문신.

[가계]

권벽(權擘)[1520~1593]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대수(大手), 호는 습재(習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념(權念)이고, 할아버지는 권억(權憶)이다. 아버지는 좌승지를 지낸 권기(權祺)이고, 어머니는 목사 김세영(金世英)의 딸 청풍 김씨(淸風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사 정휴(鄭休)의 딸 해주 정씨(海州 鄭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정충인(鄭忠仁)의 딸 경주 정씨(慶州 鄭氏)이다. 아들은 권화(權鞾)·권인(權韌)·권온(權韞)·권겹(權韐)·권필(權韠)이다.

[활동 사항]

권벽은 1520년(중종 15) 서천에서 태어났다. 1543년(중종 38) 진사시에 합격한 뒤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예문관검열을 거쳐 홍문관정자에 제수되었다. 이때 안명세(安名世)·윤결(尹潔) 등과 교유하였다. 명종 즉위 후에는 공조좌랑·예조정랑·군자감정·봉상시정·형조참의·예조참의·장례원판결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고, 춘추관의 기주관이 되어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행정 실무에 능하고 시문이 높은 경지에 이르러 명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하기도 하였다.

권벽은 외직으로 성주목사·원주목사·여주목사·선산부사·장단부사·안변부사·강원도관찰사 등을 지내며 선정을 베풀었으며, 종계변무(宗系辨誣)에 공을 세워 1591년(선조 24) 광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권벽은 임진왜란 때이던 1593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권벽의 저술로는 『습재집(習齋集)』 8권이 있다.

[묘소]

권벽의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성석동 199에 있다.

[상훈과 추모]

권벽은 사망한 뒤 예조참판에 추증되었고,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화산리 152에 있는 화산서원(華山書院)에 배향되었다. 화산서원에는 권벽·권필 부자를 비롯하여 권양(權讓)·권변(權忭)·권성(權𢜫)·조수윤(趙守倫)·홍미(洪冞)를 배향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