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424 |
---|---|
한자 | 苧産八邑商務社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범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지역에서 조선 시대 활동한 보부상 조직.
[개설]
저산팔읍상무사는 19~20세기 모시의 주산지인 정산, 서천, 비인, 한산, 임천, 홍산, 부여 남포 등 8개 군현의 보부상이 연합하여 만들어진 보부상 조직이다. 저산팔읍상무사는 상무좌사와 상무우사로 구분된다. 저산팔읍상무우사는 보상(褓商) 조직이며, 저산팔읍상무좌사는 부상(負商) 조직이다. 저산팔읍상무사는 대체로 19세기 중반부터 확인되며, 20세기 초반까지 서천 지역 일대의 오일장을 무대로 하여 장시의 관리와 모시 세금의 징수, 장시의 상품 거래와 유통에서 매우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충청남도 서천군의 저산팔읍상무사에서는 19세기 이후 장시가 발달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상품이 거래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서천군 지역에서는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고, 서천군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인들이 증가하였다. 상인들은 대부분 보부상으로 자신들의 내부 결속과 상부상조를 강조하기 위하여 상무사를 조직하였다. 보부상들은 해당 지역에서 상품을 거래하기 위하여 관할 군현에서 공인을 받고 보부상 사이에서 여러 가지 풍기 문란을 단속하기도 하였다.
[내용]
저산팔읍상무사는 좌사와 우사의 조직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었고, 별개의 단체로 활동하였다. 저산팔읍상무우사의 경우 1945년 한산군수가 우사의 임원에게 발급한 차첩이 존재한다. 저산팔읍상무좌사의 경우 1879년 비인현감이 발급한 절목이 남아 있다. 절목에는 저산팔읍상무좌사의 규약, 임원 선출 등에 대한 조직 구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저산팔읍상무우사는 1845년쯤 설립되었는데, 서천 지역 3개 군현이 처음부터 참여하였다. 저산팔읍상무좌사의 경우에는 비인현에서 처음으로 창설되어 점차 8개 군현으로 확대되었다.
[변천]
서천 지역의 오일장은 모두 저산팔읍상무사 소속의 보부상단이 활동한 권역에 해당한다. 저산팔읍은 모시가 생산되는 8개 군현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저산팔읍상무사 소속 보부상들은 1년에 한 번 총회를 소집하였으며 저산팔읍상무좌사는 3월 11일, 저산팔읍상무우사는 3월 14일이었다. 총회는 사무를 처리하고 보부상 사이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자리였다. 신입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보부상은 좌상의 경우 500원, 우사의 경우 1,000원을 내야 하였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1938년 6월까지 좌사는 총 567회, 우사는 총 167회의 총회를 개최하였다고 한다. 서천 지역의 저산팔읍상무사 소속 보부상은 일제 강점기에도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였는데, 기본적으로 한산모시의 유통 거래의 역사와 함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접어들면서 오일장 중심의 시장 구조가 바뀌면서 저산팔읍상무사는 1980년대 초반에 모두 해체되었다.
[의의와 평가]
저산팔읍상무사는 19세기 중반 설립되어 20세기 후반까지 매우 활발하게 서천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저산팔읍상무사는 서천 지역의 상거래 역사와 흔적을 같이하고 있으며, 또한 저산팔읍상무사가 남긴 물품과 자료는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