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만갯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344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장구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7월 26일 - 장구만갯벌을 포함한 서천갯벌 ‘서해안 갯벌’로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 등재
전구간 장구만갯벌 - 충청남도 서천군
해당 지역 소재지 장구만갯벌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장구리지도보기
성격 갯벌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장구리에 있는 갯벌.

[개설]

갯벌은 해수면이 높아졌을 때는 잠기고 해수면이 낮아졌을 때는 드러나는 연안의 평탄한 지역을 말한다. 즉, 조류로 운반되어 온 미세한 퇴적물이 파도가 잔잔한 해안에 쌓여 생기는 해안 퇴적 지형이다. 갯벌은 갯지렁이, 조개, 칠게 등이 서식하고 있어 섭금류인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노랑부리백로와 도요물떼새가 서식하며 수금류인 개리, 큰기러기를 비롯한 많은 오리·기러기류에게 먹이와 휴식처를 제공하는 중요한 서식처이다.

서천갯벌의 해안선은 장항읍, 마서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에 걸쳐 72.5㎞에 달한다. 자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안 사구와 모래 갯벌이 잘 발달하여 있다. 서천갯벌에는 조개류, 해조류, 꽃게, 주꾸미 등이 서식하고 있다. 2021년 7월 26일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서면 월호리 월하성부터 장항읍 송림리 유부도 해안가 일원, 총 6809만㎡의 서천갯벌을 ‘서해안 갯벌’로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에 등재하였다.

서천군 해안 일대의 갯벌로는 송림갯벌, 솔리갯벌, 월포갯벌, 장구만갯벌, 다사리갯벌, 장포리갯벌, 선도리갯벌 등이 있다. 그중 서천군 서면 월호리, 비인면 다사리, 장포리, 종천면 당정리유부도 일대의 연안 습지를 습지 보호 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명칭 유래]

장구만갯벌은 갯벌이 있는 장구리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자연환경]

장구만갯벌판교천과 당장천이 바다와 만나는 곳에 형성되었으며, 갯고랑을 볼 수 있다. 해안선을 따라가면 천연 해안선을 만날 수 있는데, 만 형태를 띠고 있어 각종 염생 식물과 흰발농게, 농게, 칠게 등이 서식한다.

[현황]

장구만갯벌을 포함한 서천갯벌은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