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탈풀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082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속 의례

[정의]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가정에 탈이 났을 때 행하는 무속 의례.

[개설]

우리나라 사람들은 조상의 묘를 잘 돌보는 일이 후손으로서 마땅히 가져야 할 도리이자 예의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관념이 바탕이 되어 조상의 유골을 더욱 좋은 장소에 모시고자 하였다.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조상의 묘가 훼손되었을 때에는 이러한 일을 자손들의 잘못으로 돌리고 고유제(告由祭)[중대한 일을 치르고 나서 그 내용을 적어서 사당이나 신명에게 알리는 제사]를 지내며 묘소의 복원에 힘썼다. 또, 풍수적으로 장소가 잘못되었다든가 묫자리에서 물이 난다는 등의 이유로 산소를 옮기기도 하였고, 기존의 잔디를 걷어 내고 새로 입히거나 비석, 덮개돌, 석등(石燈), 호석(護石) 등의 석물을 새로 조성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갑자기 가세가 기울거나 가족 구성원 중에 누군가가 시름시름 앓기도 하는데, 이러한 일을 집에 탈이 났다는 의미에서 ‘집탈’이라 하였다. 집탈은 조상의 무덤과 관련하여 후손들이 좀 더 좋은 장소로 유골을 이전하거나 무덤을 더 좋게 다듬으려고 하였지만, 순리에 맞지 않아 오히려 화를 얻게 된다는 것이다.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전하여 오는 집탈풀이는 집탈이 발생하였을 때 행하는 무속 의례이다.

[연원 및 변천]

서천 지역에서 집탈풀이가 언제부터 유래하였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예부터 조상의 묘를 돌보는 일을 중시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속에서 집탈풀이가 형성되어 왔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절차]

집탈이 난 것인지 여부의 판단은 무속인이 하며, 무속인이 중심이 되어 집탈풀이를 행한다. 무속인을 비롯한 해당 가정의 사람들이 원인이 된 조상의 묘역으로 간다. 묘 앞에 시루떡, 과일, 포, 술 등을 차려 놓고 의례를 시작한다. 서천 지역에서 이루어진 집탈풀이의 실제 사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먼저 산신부터 위하고 “조상님 혼백은 왕생 극락 세계로 보내 주시고, 백골은 명당에 안정되게 해 달라.”라고 축원한다. 그리고 아픈 사람을 축원하고 나서 『조상경』을 읽으며 “명당에서 편안하게 있어 달라.”라고 한다. 이처럼 산신과 조상을 대상으로 축원을 하고 음식을 사방에 뿌려 잡귀들에게 먹이고 나서 의식을 마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