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전치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077
이칭/별칭 미친굿,박수,무당,초막,쌀겨,횃불,메밀범벅,화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무속 의례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무속인들이 미친 환자를 치료하고자 행하는 무속 의례.

[개설]

화전치기 는 불을 이용하여 환자의 몸에 든 귀신을 쫓아내는 무속 의례이다. 일반적으로 미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미친굿에서 화전치기가 활용된다. 미친굿은 충청도 지역의 법사[무속인]들이 귀신이나 도깨비 때문에 사람이 미쳤을 때 치유하고자 행하는 독경 위주의 앉은굿 치병 의례를 말한다.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화전치기는 불을 통하여 환자를 놀라게 하면 환자의 몸속에 있던 귀신 또한 자신이 타 죽을 수 있다고 보아, 놀라서 환자의 몸에서 탈출하게 되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환자가 정상으로 돌아온다는 관념을 바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화전치기가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는 주로 박수무당이 중심이 되어 행하여졌다. 때로는 미친 사람을 제압하여야 하는 까닭에 남성들이 주로 하였다. 아울러 화전치기는 불을 다루어야 하기에 항상 위험이 상존하였다.

[절차]

화전치기 를 하려면 준비하여야 할 것들이 있다. 먼저 초막(草幕)[짚으로 만든 움막] 3개, 시커먼 숯가루처럼 볶은 쌀겨, 횃불 1개를 준비한다. 또 메밀범벅을 작은 경단처럼 뭉치고 나서 복숭아나무 가지를 꽂아 화살을 만든다. 화살은 가족 수만큼 만든다. 준비가 끝나면 미친 환자를 마당 가운데로 나와 앉게 한다. 그러고는 앞서 준비한 메밀 화살을 대나무 활시위에 걸어 환자에게 쏜다. 한곳에서만 쏘는 게 아니라 사방으로 옮겨 가면서 쏘아야 효과가 있다고 한다.

활쏘기가 끝나면 마당 한쪽에 세워 놓은 첫 번째 초막 안으로 환자를 이동시킨다. 박수는 초막에 앉아 있는 환자를 바라보며 귀신을 달래거나 때로는 압박하는 등의 주술적인 말을 하면서 화전을 치기 시작한다. 곧 한 손에 횃불을 들고 다른 한 손에 볶은 쌀겨를 움켜쥐고 환자가 있는 초막에 다가간다. 그러고는 환자 쪽으로 횃불을 가져가서 그 앞에 쌀겨 가루를 뿌린다. 그러면 쌀겨 가루가 횃불에 닿으면서 불꽃 가루가 사방으로 번져 나간다. 이렇게 반복적으로 쌀겨 가루를 뿌리다 보면 불티가 초막에 옮겨 붙게 되고 환자는 그 속에서 놀라게 된다. 이때 보조자가 재빨리 초막에서 환자를 빼내 두 번째 움막으로 환자를 이동시킨다. 이렇게 세 번째 초막까지 이동하면서 화전치기가 반복된다. 화전치기가 끝나면 환자를 방으로 인도하여 쉬게 하여 준다. 이어서 환자를 친척 집으로 보내 일주일 정도 머물게 하는데 이를 “피접(避接) 보낸다.”라고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과거 서천 지역의 남자 무속인들은 정쟁이 또는 경쟁이라고 불렸으며, 독경을 위주로 하는 법사와 점을 겸하여 하는 박수로 나뉘는데, 이 중에서 미친굿의 화전치기를 주도하는 사람들은 점을 겸하던 박수들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