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045
한자 親迎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일생 의례|혼례

[정의]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 신랑이 신붓집으로 가서 신부를 직접 맞이하는 혼례 절차.

[개설]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전통 혼례에서 친영(親迎)은 신랑이 신붓집에 가서 혼례식을 올리고 신부를 맞아 오는 의례이니, 혼례식의 중심이 되는 절차로 볼 수 있다. 친영에는 신랑이 초례를 지내고자 신붓집으로 가는 초행(醮行)을 비롯하여 혼례식의 절차인 전안례(奠雁禮)·교배례(交拜禮)·합근례(合巹禮), 혼례식 이후의 과정, 신랑집에서 행하는 폐백 절차까지 모두 포함된다.

[연원 및 변천]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전통 혼례는 조선 후기인 18세기에 간행된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에는 시대의 변화에 맞게 구체적인 양태가 바뀌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를테면 신랑 신부가 서로 절을 하는 교배례에서 전통적인 관행은 여자가 먼저 두 번 절하고 남자가 이어서 한 번 절하는 것이었으나, 근래에는 동시에 한 번 절하는 것으로 일반화되었다.

[절차]

친영 은 초자례(醮子禮)·초녀례(醮女禮), 전안례, 교배례, 근배례(巹杯禮), 합궁례(合宮禮) 순서로 치러진다. 친영 순서에서는 전안례와 교배례, 그리고 합근례라고도 불리는 근배례가 중심적인 과정이다.

먼저 전안례는 신랑이 신부의 부모에게 기러기를 올리는 의식이다. 한번 짝을 이루면 변치 않는 기러기 한 쌍을 신부의 부모에게 올리며 영원한 사랑을 약속하는 절차이다. 서천 지역에서는 신부의 어머니가 신랑에게 절을 두 번 받고 나서 기러기를 치마에 감추고 안으로 들어가 쌀독에 감추었다. 그러고 나서 신부가 초례상에 나와 서 있으면 신랑이 천이나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초례상 앞으로 갔다. 이때 신부 어머니가 감추었던 기러기를 가져다가 신랑 앞에 있는 작은 상 위에 놓았다.

교배례는 신랑과 신부가 초례상을 마주하고 서서 서로 절을 하여 인사를 나누는 과정이다.

근배례라고도 불리는 합근례는 신랑 신부가 표주박을 둘로 나눈 잔에 술을 따라 마시는 의식이다. 신부가 따른 술을 신랑에게 건네면 신랑이 술을 마시고 신부에게 술을 권한다. 합근례 때 신랑 신부는 3번 술을 나누어 마셨는데, 첫째 잔은 지신(地神)에게 감사하는 뜻으로 고수레하는 잔이며, 둘째 잔과 셋째 잔은 표주박에 담아 나누어 마심으로써 부부의 화합을 기원하는 잔이다. 서천 지역의 합근례에서는 신부의 양 옆에서 도와주는 사람인 ‘하님’이 술잔에 술을 따라서 오른쪽으로 돌려 신랑에게 주면 신랑은 받아서 입에 댔다가 뗀 다음, 퇴주 그릇에 붓고 놓았다. 다시 하님이 술잔에 술을 따라서 역시 오른쪽으로 돌려 신부에게 주면 입에 댔다가 퇴주 그릇에 부었다. 또 다시 술잔에 술을 부어 신랑에게로 돌리면 그때는 조금 마시거나 전부 마시기도 하였다. 이때 주위의 구경꾼들이 신랑의 입에 대추와 밤 몇 개를 안주 삼으라고 넣어 주었고, 나머지는 신랑의 한삼 옷소매에 넣어 주었다. 그리고 술 한 잔을 따라서 신부에게 돌리면 입을 좀 댔다가 퇴주하였다. 그러고 나서 암탉과 수탉을 들고 섰던 사람이 닭을 날려 보내면 신랑은 신부 쪽으로 돌아서 방으로 들어갔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혼례식은 신부의 집에서 하는 것이 관행이었다. 이처럼 신랑이 장인의 집[丈家]에서 혼례를 치르기에 장가(丈家) 간다는 말도 생겨났다. 혼례식을 올리는 곳을 초례청(醮禮廳) 또는 대례청(大禮廳), 전안청(奠雁廳)이라 하는데, 대개 신붓집의 안마당이나 대청마루에 마련하였다. 서천 지역에서는 혼인날에 신부 집 마당에서 혼례식을 올리는 것을 “마당을 빌린다.”라고 일컬었다. 마당을 빌릴 정도가 되면 신부 측이 경제적으로 살 만하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반대로 마당을 빌리지 못하면 초례는 신랑집에서 치렀다. 보통 혼례를 치른 뒤에 신랑은 하루에서 사흘 정도 처가에서 머무는데, 처가의 형편이 넉넉지 않으면 하루만 머물고 신부와 함께 본가로 돌아온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