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산물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14
한자 特産物
영어공식명칭 Special Produc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이 지역 대표 산물로 선정한 9개 품목.

[개설]

서천군은 2018년 2월 ‘서천 9경(景)-9미(味)-9품(品) 선정 및 육성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1차 군민 공모, 2차 전문가 의견 조사, 3차 군민과 관광객 설문 조사 및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018년 8월 ‘서천 9경, 9미, 9품’을 최종 선정하였다. 지역의 대표성, 생산량, 주민 소득 증대 기여, 관광 마케팅 효과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서천 지역 대표 특산물 ‘서천 9품’에는 한산소곡주, 서천김과 멸치, 한산모시, 주꾸미, 서래야쌀, 꽃게, 전어, 박대, 자연산 광어가 선정되었다.

[변천]

2007년 서천군은 농산물 공동 브랜드 ‘서래야(舒來野)’를 출시하였다. 서래야는 ‘서천에서 온 좋은 농산물’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서천군은 관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중 엄격한 품질 관리를 거친 농산물에 한하여 공동 브랜드인 서래야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서래야 외에 서천김 공동 브랜드인 ‘서천미작’, ‘미곡’ 등이 있었으나 디자인의 가독성이 낮고 홍보에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품질을 표현함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서천의 농수산물 브랜드가 이원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혼란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관리의 어려움과 홍보 예산의 중복 투자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결국 서천군은 2013년 브랜드 리뉴얼 용역을 통하여 농수산물 공동 브랜드를 서래야로 통합하기로 결정하였다.

[현황]

리뉴얼을 통하여 서래야는 한산모시 조각보의 격자무늬를 바탕으로 나뭇잎과 물방울을 이미지화하고 서천군이 인증한 농수산물을 나타내는 인장을 찍어 조형적 완성도를 높였다. 하지만 서래야로 통합한 지 10여 년이 지난 현재도 쌀과 블루베리, 깻잎 등 일부 농수산물에만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어 서천군을 대표하는 브랜드로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서천의 대표적 수산물인 서천김, 멸치, 박대, 꽃게 등은 서래야 브랜드 이용률이 매우 낮은 편이다.

서천 9품 외에도 농촌진흥청에서 소개하는 서천군의 지역 특산물로는 쪽파, 수박, 부추 등이 있다. 서천 쪽파는 금강 충적토 및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고 월동하여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수박은 지역 특성에 적합한 품종과 대목(臺木)[접을 붙일 때 그 바탕이 되는 나무]을 선택하여 재배함으로써 맛과 품질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부추는 황토에서 재배되어 부추 특유의 맛과 향이 우수하며, 남부 지방과 중부 지방의 성출하기를 피한 틈새 출하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서천 지역 특산물은 지역 고유의 역사에 기초한 한산소곡주와 한산모시, 지리적 입지에 기초한 박대, 그리고 서천군의 정책적 노력에 기초한 서천김을 제외하면 전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높다고 보기 어렵다. 서래야라는 공동 브랜드를 개발하여 정책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나 서래야의 전국적 인지도는 여전히 낮은 상태이다. 특산물 자체에 대한 홍보 강화도 중요하지만, 최근의 관광 및 여가 활동 트렌드에 부합하도록 특산물을 이용한 2차[가공] 및 3차[서비스] 산업을 육성하여 특산물을 이용한 6차 산업화의 추진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