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808
한자 市場
영어공식명칭 Marke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는 전통 시장.

[개설]

전통 시장 또는 재래시장은 소상인들이 모여서 갖가지 물건을 직접 판매하는 전통적 구조의 시장을 의미한다. 3일장이나 5일장과 같이 사람들이 특정 장소에 모임으로써 열리는 정기 시장이 일반적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도시화로 인하여 지역민들에 의한 상시 수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설 시장이 보편화되고 있다.

충청남도 서천군의 주요 상업지는 군청 소재지인 서천읍과 장항선 종착역이 입지한 장항읍, 그리고 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천군에는 장항전통시장을 비롯하여, 서천특화시장, 한산장, 판교장, 비인장 등 5개 정기 시장이 있다. 총점포 수는 448개, 부지 면적은 5만 8767㎡, 판매 면적은 1만 1557㎡이다. 서천특화시장은 등록 시장에 해당하고, 장항전통시장은 인정 시장, 한산장, 판교장, 비인장은 상점가로 볼 수 있다.

[현황]

서천군 소재 정기 시장은 장항전통시장, 서천특화시장, 한산장, 판교장, 비인장 등 5개소이다. 개별 시장의 점포 수는 15~269개로 분포하며, 부지 면적은 7,091~1만 6480㎡, 판매 면적은 630~6,550㎡로, 시장 간 규모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서천특화시장서천읍 군사리 일대 약 1만 4545㎡[4,400평] 부지에 2001년부터 총 7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2004년 9월 개장하였다. 지상 2층, 연면적 약 6,545㎡[1,980평] 규모의 점포, 노점동과 식당동 등 각종 편의 시설을 갖춘 현대식 특화 시장에 해당한다. 인근 국립생태원과 제휴를 맺어 국립생태원 입장권을 제시하는 고객에 한하여 할인하여 주는 마케팅 사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2024년 1월 22일 발생한 화재로 292개 점포 가운데 수산물동과 식당동, 일반동 내 점포 227개가 모두 불에 타는 등 소방서 추산 65억 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서천특화시장은 화재 발생 94일 만인 2024년 4월 25일 시장 서쪽 주차장 부지에 임시 상설 시장 형태로 재개장하였다.

장항전통시장은 소형의 공설 시장이며, 전체 토지 면적은 1만 6428㎡에 해당한다. 2023년 말 현재 전체 점포 수는 157개이며, 그중 26개가 비어 있고, 50개는 노점이다. 전체 상인 135명 가운데 75명이 점포 상인, 10명이 종업원, 50명이 노점 상인으로 분류된다.

한산장은 모시, 곡물류, 수산물, 마늘 등이 주요 거래 품목이고, 1일과 6일에 오일장이 개장한다. 판교장은 한때 우시장으로 유명하였으나 현재는 명맥만 유지하고 있으며, 5일과 10일에 오일장이 개장한다. 비인장은 겨울철에 해산물의 거래가 많았고, 곡물, 잡화, 일용품의 거래가 주축을 이루었으며, 4일과 9일에 오일장이 개장한다.

[의의 및 평가]

대도시 지역과 달리 서천군은 군 단위 지역으로 인구가 특정 지역에 밀접하지 않고 넓게 분포할 뿐만 아니라 인구 규모 자체가 크지 않기 때문에 대형 마트의 입지 및 운영이 여의치 않다. 따라서, 전통 시장과 상점가의 존재는 서천군민의 소비와 판매를 연결하는 장소로서 타 지역에 비하여 중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비록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전통 시장의 입지나 중요성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전통 시장은 단순히 거래를 위한 공간을 넘어 농촌 지역 고령자들의 생활 터전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전통 시장의 유지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서천군청(https://www.seocheon.go.kr)
  • 소상공인마당(https://www.sbiz.or.kr)
  • 충청남도청(https://www.chungnam.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