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782 |
---|---|
한자 | 流通業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성효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행하여지는 재화나 서비스의 유통과 관련된 산업.
[개설]
유통이란 생산자에 의하여 생산된 재화가 판매되어 소비자에 의하여 구매가 되기까지 중간 단계에서 수행되는 여러 활동을 말한다. 쌍방적 유통의 경우 크게 상품 유통과 자본 유통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단순히 유통이라 하면 상품 유통을 뜻하는 경우가 보통인데, 상품 유통은 역사적으로나 논리적인 입장에서 보더라도 자본 유통에 앞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통은 매매 거래를 중심으로 하는 활동인 상적 유통과 재화의 보관·수송 및 하역 등을 중심으로 하는 활동인 물적 유통으로 구별된다. 그리고 유통 활동을 담당하는 기업을 유통업체라 하며, 이러한 것을 총칭하여 유통업 또는 유통 산업이라 한다.
2021년 기준 유통업[도·소매업]에 속하는 서천군 내 사업체는 1,751개이며, 서천군 내 전체 사업체 7,630개에서 22.9%를 차지한다. 유통업에 속하는 사업체에 근무하는 종사자의 수는 2,743명으로 서천군 전체 산업에서 17.6%에 해당한다.
[현황]
2020년 기준 서천군에는 등록 시장과 인정 시장이 각각 1개씩 있으며 3개의 상점가가 존재한다. 등록 시장에는 272개의 점포가 입점하여 있으며, 판매 면적은 6,550㎡이고 대지 면적은 1만 5695㎡이다. 인정 시장에는 72개 점포가 입점하여 있고, 판매 면적은 2,674㎡이고 대지 면적은 1만 6480㎡에 해당한다. 한편, 3개의 상점가에는 105개의 점포가 입점하여 있고 판매 면적은 2,333㎡이고 대지 면적은 2만 6592㎡에 해당한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8년과 비교하면, 전체 점포의 수는 497개에서 449개로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감소분은 주로 인정 시장에서 107개 점포가 72개 점포로 감소하면서 발생하였다. 등록 시장의 경우 같은 기간 285개에서 272개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감소가 나타났다.
서천군의 2021년 기준 도매 및 소매업 종사자의 수는 2,883명으로, 읍면별로는 서천읍에 가장 많은 1,295명이 종사하여 서천군 전체에서 44.9%를 차지한다. 그다음으로는 장항읍 626명[21.7%], 서면 357명[12.4%], 마서면 149명[5.2%], 한산면 120명[4.2%], 비인면 115명[4%] 등으로 분포한다. 『충남사회조사』 2022년 자료에 의하면, 소비 생활 만족도[5점 만점으로, 1~5점 중에서 수치가 높을수록 높은 만족도를 의미함]에서 서천군은 평균 3.09점으로 충청남도 내 15개 시군 가운데 계룡시의 3.17점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나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비중이 19.1%여서 아산시[16.6%], 계룡시[16.9%], 태안군[18.5%], 홍성군[19.0%]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조사된다.
서천군은 2024년에 대표 사업으로서 군청로 상권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며, 소상공인 지원 사업을 계속 사업으로 진행한다. 군청로 상권 활성화 사업은 서천군 청사 이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구청사 주변 상권 약화와 슬럼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진되는 사업이다. 군청로 상권 활성화 사업은 입점 점포 임대료 및 인테리어 지원, 경영 컨설팅 지원 및 앵커스토어 지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은 전통시장 노후 및 위험 시설 개선 및 시설 현대화를 통한 전통시장 이용 활성화와 서천특화시장 스마트 주차 시스템 운영, 수산동 리모델링 및 수조 냉각기 공동구 설치, 판교전통시장 아스콘 덧씌우기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의의]
서천군에는 대기업 계열의 대형마트가 부재하여 소비자 입장에서는 편의성에서 다소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나 지역 소득의 역외 유출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