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359 |
---|---|
영어공식명칭 | Chinese Egret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동물/동물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양종국 |
천연기념물 지정 일시 | 1988년 8월 23일![]()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노랑부리백로 천연기념물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24일 - 노랑부리백로 서식지 노루섬 ‘특정도서’ 지정 |
지역 출현 장소 | 노루섬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 |
성격 | 동물|조류 |
학명 | Egretta eulophotes |
생물학적 분류 | 척삭동물문〉 조강 〉 황새목〉 백로과 〉백로속 |
서식지 | 해안의 만|하구|간석지|갯벌|논 |
몸길이 | 약 68㎝ |
새끼(알) 낳는 시기 | 6월 하순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의 무인도 노루섬에서 번식하고 유부도와 서천 갯벌에서 먹이 활동을 하는 황새목 백로과의 여름 철새.
[개설]
전 세계 생존 개체 수가 2,600~3,400마리 정도로 추정되는 국제 보호종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러시아의 일부 섬에서 번식하고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한다. 서천 지역에서는 무인도인 마서면 남전리 노루섬에서 여러 개체가 번식하고 있다.
노랑부리백로 의 서식지인 노루섬은 국제적 멸종 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저어새와 괭이갈매기의 집단 번식지이기도 하다. 환경부는 자연 생태계·지형·지질·자연환경이 우수한 섬을 ‘특정도서’로 지정하는데, 2024년 5월 24일 서천 노루섬이 특정도서에 지정되었다.
[형태]
몸길이는 약 68㎝이다. 백로과 중에서는 소형종이며 쇠백로와 비슷하나 목과 다리가 상대적으로 짧다. 온몸이 눈부신 순백색이며 다리는 검은색이다. 부리와 발은 노란색이다. 번식기에는 다리는 검은색을 띠고 뒷머리에 20가닥 이상의 긴 장식깃이 생기며 목과 등에도 장식깃이 발달하여 백로 종류 중에서 가장 멋진 모습을 보여 준다. 번식기가 아닌 겨울에는 장식깃이 없어지고 부리는 검은색, 다리는 녹황색을 띤다.
[생태 및 사육법]
주로 해안의 만, 하구, 간석지, 갯벌, 논 등에서 서식한다. 먹이는 갯벌이나 바다가 가까운 습지에서 망둥어 등의 물고기와 새우나 게 같은 갑각류, 갯지렁이 등을 잡아먹는다. 번식기는 6월 하순이다. 번식은 한정된 섬 지역에서 집단으로 하는데, 전 세계 번식 집단 중 상당수가 우리나라의 서해안 무인 도서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번식지에서는 저어새, 괭이갈매기와 함께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번식이 끝나면 갯벌 지역과 갯벌과 인접한 농경지, 하구 등에서 관찰된다. 키가 작은 나무나 맨땅에 마른 가지를 모아 접시형의 둥지를 만들고 옅은 청록색의 알을 2~4개 정도 낳는다. 포란 기간은 24~26일이며, 암컷이 주로 알을 품는다.
[현황]
노랑부리백로 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목록[Red list]에 취약[VU] 등급으로 분류된 국제 보호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1988년 8월 23일 천연기념물 제36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천연기념물로 변경되었다.
2020년부터 매년 서천군 섬 지역의 조류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온 서천군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루섬에서 2020년 13개체, 2021년 28개체, 2022년 22개체, 2023년 32개체, 2024년 51개체의 노랑부리백로의 서식이 확인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