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347 |
---|---|
한자 | 韓山郡誌 |
이칭/별칭 | 『충청우도한산군지(忠淸右道韓山郡誌)』,『한산읍지(韓山邑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박범 |
[정의]
19세기에 편찬된 충청남도 서천군의 군지.
[개설]
『한산군지(韓山郡誌)』는 충청도 한산군의 연혁 인문 지리, 행정, 관청, 호수, 인구, 인물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이다. 편찬 시기는 고종 연간으로 판단되나 정확하게는 알 수 없다.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한산군지』 이외에 한산군의 개별 읍지는 현재 전하고 있지 않으며, 『여지도서』나 『호서읍지』와 같이 도별로 편찬된 읍지에 수록되어 있는 것이 전부이다.
[저자]
서문 혹은 발문이 없어 저자 및 편찬 경위는 확인할 수 없다.
[형태/서지]
『한산군지』는 필사본으로 1책이며 줄이 없다. 12행 32자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37.9×22.9㎝이다. 내제(內題)는 ‘충청우도한산군지(忠淸右道韓山郡誌)’이며, 권말에는 ‘한산읍지(韓山邑誌)’라고 되어 있다.
[구성/내용]
『한산군지』는 별도의 서문과 발문이 없는 필사본이다. 내용은 건치연혁, 읍호, 관직, 성씨, 풍속, 물산, 산천형승, 산, 현(峴), 평(坪), 기이, 고적, 단유, 향교, 서원, 관해, 창고, 누정, 성숙, 방리, 도로, 진도, 고량, 장시, 제언, 천거, 역원, 사찰, 호적, 양안, 각리호수, 각면도총호수, 제영, 기, 문, 명환, 정려, 인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읍지와는 다르게 특이한 사항은 평에서 들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는 점이다. 종평, 압평, 화평, 덕룡령, 독정평, 장재평, 길산평, 이사평, 대천평 등이 수록되어 있다. 향교와 서원의 경우 배향 인물까지 모두 기재하고 있으며 서원에서는 축문의 내용도 수록하였다. 또한 향현사의 경우 조직 구성과 재정 상태를 알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방리에서는 각 면에 소속된 리의 명칭과 읍치와의 거리를 기재하였다. 도로에서는 서울, 감영, 병영, 수영, 전영과 주변 군현과의 경계, 금강 넘어 전라도 군현까지의 거리와 소요 일정을 기록하였다. 진도에서는 나루의 명칭과 진선의 수를 기재하였다. 제언에서는 위치, 수심, 둘레 정도를 수록하였다. 다른 읍지에는 없는 호적과 양안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호적의 경우에는 한산군에서 소장하고 있는 호적을 식년별로 기재하고 권수를 기록하였다. 한산군의 호적은 옹정 계묘식, 즉 1723년부터 남아 있었으며 당시에는 1권이었다. 이후 2권이 되기도 하고 3권이 되기도 하였다. 가장 마지막 호적의 식년은 도광 계묘식으로 1843년 호적이다. 없어진 호적의 경우에는 ‘무(無)’라고 기재하였는데 2곳에서 확인된다. 양안은 행심책을 기재하였다. 모두 9면의 행심책으로 동상면부터 북부면까지 각 면은 2권에서 4권이 있었다. 각리호수의 경우 각리별로 호(戶)의 숫자를 기록하고자 하였으나 숫자는 없고 ‘호’만 표기되어 있다. 대신 각면도총호수에서 면별 호수를 기재하였다. 이외에 가문과 인물이 전체 분량의 3/4 이상을 차지한다.
[의의와 평가]
『한산군지』는 19세기 후반 한산군의 인문지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읍지로서 다른 지역에는 없는 읍지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특히 실무적인 내용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