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64
한자 平野
영어공식명칭 Plain
이칭/별칭 평원(平原),평지(平地)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기복이 적고 평탄하며 넓은 지대.

[개설]

평야(平野)는 평원(平原)이나 평지(平地)라고도 하는데, 대체로 높이 150m 이내의 토지가 해당한다. 평야는 형성 원인에 따라 크게 퇴적 평야와 침식 평야로 나뉜다. 퇴적 평야는 하천의 퇴적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하성 퇴적 평야와 바다의 퇴적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해성 퇴적 평야로 구분할 수 있다. 침식 평야는 암석이 침식을 받아 평탄하게 된 지형으로, 준평원, 산록 완사면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주요한 평야는 대부분 퇴적 평야이며, 퇴적 평야의 핵심 부분은 대하천의 하류에 토사가 쌓여 이루어진 범람원이다. 이러한 범람원들은 후빙기 해수면 상승이 마지막 단계에 도달하였을 때 윤곽을 드러냈으며, 빙기에 깊게 패었던 골짜기에 하천의 토사가 퇴적됨에 따라 형성되었다. 토사가 현재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퇴적되었기 때문에 범람원의 높이는 10m 내외로 매우 낮다.

[토지 이용]

우리나라의 평야는 대부분 논으로 이용된다. 평야에서 ‘들’이라고 부르는 곳은 대부분 범람원으로 분류되는데, 평야 주변의 구릉지도 기복이 아주 작으면 평야의 일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구릉지는 하천 지형이 아니기 때문에 하천의 범람에 의한 침수 위험이 없고, 대개 기반암의 풍화토인 적색토로 덮여 있다는 특징이 있다. 토지 이용도 범람원과 달리 주로 논이 아닌 밭, 과수원, 목장, 임야 등으로 이용된다. 구릉지의 논은 골짜기, 즉 바닥이 깊어 물을 대기 쉬운 ‘고래실’에 분포한다. 구릉지가 삼림으로 덮여 있으면 기복이 아무리 작아도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산’이라 부른다.

[서천의 평야]

서천군은 벼농사에 적합한 고온다습한 기후와 평야로 이루어진 지형으로 예부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곡창 지대로 꼽혀 왔다. 서천군은 모든 하천이 서쪽과 남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하천 유역인 남쪽의 금강 연안과 서쪽의 서해 연안에 평야가 분포한다. 저수지는 대체로 해발 고도 10m 내외에 있다. 서천의 주요 평야는 길산평야, 한산평야, 장항평야, 서면평야, 비인평야, 종천평야, 죽산평야 등 총 7개이다.

길산평야는 서천군에서 가장 넓은 평야이다. 길산천 유역을 중심으로 판교천 유역의 평야와 연결되어 넓은 면적에 형성되었다. 길산평야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곡창 지대로 인식되어 왔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쌀 수탈의 대상지가 되기도 하였다. 한산평야는 서천군에서 두 번째로 큰 평야이며, 단상천 유역에 분포한다. 한산평야 역시 곡창 지대였기 때문에 한산평야에서 난 쌀로 빚은 소곡주와 모시가 지역의 특산물로 지정되어 있다.

장항평야서천군 장항읍 지역에 형성된 평야이며, 솔리천옥남천 유역에 분포한다. 북쪽과 동쪽이 구릉지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이다. 장항평야는 서천군에서 세 번째로 넓은 평야이며, 많은 면적이 장항읍 시가지로 이용되고 있다. 서면평야서면에 형성된 평야이며, 신합천 유역에 분포한다. 서천군에서 네 번째로 넓은 평야이다. 서면평야는 6·25전쟁 이후 서면 도둔리 일대에서 피란민을 대상으로 간척 평야를 진행하여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간척 평야가 많다. 당시 조성된 간척지는 신간지라고 불렀다.

비인평야서천군 비인면에 형성되어 있는 평야이며, 해안선을 따라 길게 분포한다. 비인평야비인천과 첨지천 유역에 분포하는데, 첨지천 하구에는 간척 평야가 조성되어 있다. 종천평야종천면 지역에 형성되어 있는 평야이며, 종천천 유역에 분포한다. 종천평야가 있는 종천면은 대부분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평야의 동쪽과 서쪽도 구릉지로 둘러싸여 있다. 죽산평야마서면 서부 지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죽산천 유역에 분포한다. 죽산천 유역에는 하해 혼성의 충적토로 된 간석지가 크고 넓게 형성되었는데, 현재는 간척되어 곡창 지대가 되었다.

1923년 서천에 수리조합이 설립되었다. 수리조합은 서천에 펼쳐진 평야 지역을 중심으로 저수지, 방조제, 수로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하였는데, 동부저수지서부저수지도 당시 축조되었다. 수리 사업은 수리조합 구성원인 일본인 지주들의 농장 경영의 효율성을 끌어올리고자 시행되었다. 수리조합의 정책으로 서천군의 농업 생산량은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다. 1926년 수리 사업이 종료된 이후 당시 장항 지역이 미곡 생산 및 집산지로서의 기능을 하기 시작하면서 서천군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