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068 |
---|---|
한자 | 西面平野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종철 |
전구간 | 서면평야 - 충청남도 서천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서면평야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
성격 | 평야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에 있는 평야.
[명칭 유래]
서면평야(西面平野)가 자리한 서면(西面)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자연환경]
서면평야는 신합천에 주로 분포한다. 신합천은 서면 주항리에서 발원하여 서류하여 서면 부사리를 지나 신합리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서해 연안은 제주 해류가 해안을 따라서 북상하고, 금강의 퇴적물이 쌓이며, 조차가 5.6m가 되기 때문에 간척지가 많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서면평야가 분포한 신합천 하구에는 간척 평야가 만들어져 있다.
신합천 유역에는 하해 혼성의 충적토로 된 간석지가 크고 넓게 형성되었는데, 현재는 간척되어 곡창 지대가 되었다. 서면평야는 주로 간척 평야가 많다. 6·25전쟁 이후 서천군 서면 도둔리 일대에서 피란민을 대상으로 간척 사업을 진행하였다. 약 100세대가 공유 수면 61만 4876㎡를 간척하였고, 3년 후부터 농사를 지었는데, 조성된 간척지는 신간지라고 불렀다.
[현황]
서면평야는 서천군에서 길산평야와 한산평야, 장항평야에 이어 네 번째로 넓은 평야이며, 경지 정리가 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