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서천문화대전 > 서천향토문화백과 > 삶의 틀(정치∙경제∙사회) > 경제·산업 > 특산물
-
충청남도 서천군이 지역 대표 산물로 선정한 9개 품목. 서천군은 2018년 2월 ‘서천 9경(景)-9미(味)-9품(品) 선정 및 육성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1차 군민 공모, 2차 전문가 의견 조사, 3차 군민과 관광객 설문 조사 및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018년 8월 ‘서천 9경, 9미, 9품’을 최종 선정하였다. 지역의 대표성, 생산량, 주민 소...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삼산리 고살메마을에서 갈대의 꽃을 이용하여 만드는 전통 빗자루. 갈꽃비는 고살메마을에서 갈대의 꽃인 ‘갈꽃으로 만든 비[빗자루]’를 말한다. 수수비와 달리 매우 촘촘하고 부드러운 갈꽃비는 미세한 먼지까지 잘 쓸려서 주로 실내용으로 사용되었다. 벽지나 창호지에 풀을 발라 붙일 때 풀비로도 안성맞춤이었다. 또한 갈꽃비는 화학 제품이나 짐승 털로 만든 빗자루와 달...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재배되는 모시 잎을 이용하여 만든 떡. 모시떡은 데친 모시 잎과 불린 쌀을 곱게 갈아 소금 간을 하여 찐 떡이다. 모시 잎은 떡이 딱딱해지거나 쉽게 상하는 것을 막아 준다고 한다. 모시떡은 송편, 가래떡, 영양 찰떡, 찹쌀떡, 개떡, 인절미 등 다양한 떡으로 만들 수 있다. 서천군에서는 해풍을 맞고 자란 1등급 쌀과 서천의 대표 특산물인 한산의 모시 잎으로 모시...
-
충청남도 서천군의 특산물인 참서댓과의 바닷물고기. 박대는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 분포하는데 금강과 서해가 만나는 서천군이 최고의 서식 조건을 갖춘 곳으로 알려져 있다. 박대는 다른 생선에 비하여 비린내가 적고 맛이 담백하며, 잔가시가 없어 먹기에 편한다. 또한 단백질과 미네랄 함량이 풍부하여 맛이 일품이다. 10월부터 12월까지가 제철인 박대의 맛을 보기 위하여 전국의 미식가들이...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재배 및 생산되는 특산물. 서래야쌀은 서천군 농수산물 공동 브랜드인 ‘서래야’로 판매되는 쌀이다. 2007년 출시된 서래야는 ‘서천에서 온 좋은 농산물’이라는 뜻과 함께 ‘넓은 들에 비옥한 토지’라는 의미도 담고 있다. 서천군은 관내에서 생산되는 농수산물 중 엄격한 품질 관리를 거친 농수산물에 한하여 공동 브랜드인 서래야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생산되는 김. 김은 홍조류 보라털과의 해조류(海藻類)이다. 붉은 자주색을 띠어 자채(紫菜)라고도 하며 청태(靑苔), 감태(甘苔), 해우(海羽), 해의(海衣), 해태(海苔)라고도 부른다. 김은 주로 서해안에서 양식되고 생산이 된다. 민물과 해수가 만나는 곳에서 자라야 각종 무기물과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영양가가 높고 식감도 부드러우며 맛과 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을 중심으로 생산되는 지역 특산품. 도토리묵은 참나뭇과의 열매인 도토리의 녹말을 물에 풀어 끓인 뒤 굳혀 만든 토속 음식이다. 먹을 것이 귀하던 시절에는 주리 배를 채워 주던 구황 식품이었으나 요즘은 건강식품과 별식으로 인기가 높다. 칼륨과 단백질 등 영양소가 풍부한 도토리묵은 성인병 예방과 피로 회복, 숙취 해소 등에 효능이 있다. 또한 칼로리는 낮고 식이...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전통 방식으로 제조되는 전통주. 한산소곡주는 기록에 남아 있는 우리나라 전통주 가운데 가장 오래된 술이다. 백제 멸망 후 백제 유민들이 나라를 잃은 한을 달래고자 하얀 소복을 입고 빚었다 하여 소곡주(素穀酒)라고 불린다. 오랜 역사만큼이나 맛과 향이 뛰어나 명주(銘酒) 중의 명주로 알려져 있는 한산소곡주는 옛 한산 지역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