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삼으로 남편을 구완한 열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251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10년 2월 11일 - 「산삼으로 남편을 구완한 열녀」 이정예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5년 12월 8일 - 「산삼으로 남편을 구완한 열녀」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4-8-충청남도 서천군에 수록
관련 지명 송산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송산리
채록지 송산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송산리지도보기
성격 설화|민담
주요 등장 인물 남편|아내
모티프 유형 열녀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송산리의 한 열녀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산삼으로 남편을 구완한 열녀」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송산리에서 남편을 구한 열녀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산삼으로 남편을 구완한 열녀」는 2010년 2월 11일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송산리에서 마을 주민 이정예에게서 채록하였다. 2015년 12월 8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4-8-충청남도 서천군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에 한 부부가 마을에 살고 있었다. 남편은 병이 깊고 오래되어 어떤 약을 쓰더라도 도무지 병이 나을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어느 날 아내는 누군가에게 남편의 병이 낫기 위하여서는 송장의 다리를 잘라다가 달여서 먹여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서 아내는 어느 외진 골짜기에 가서 송장을 찾기 시작하였다. 마침내 골짜기 깊은 곳에서 한 송장을 찾아내어 한쪽 다리를 잘라 낸 후 서둘러 집으로 돌아갈 채비를 하였다.

아내가 집에 돌아오는 길에 뒤에서 자꾸 무슨 소리가 나서 뒤돌아보니 한쪽 다리가 잘린 송장이 자기 다리를 내놓으라고 하면서 쫓아오고 있었다. 놀란 아내는 얼른 집으로 들어가서 송장이 집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을 걸어 잠그고 하룻밤을 지새웠다. 다음 날이 되어 나가 보았더니 문 앞에 커다란 삼이 자빠져 있었다. 삼의 모습을 자세히 보니 한쪽 뿌리가 잘린 모양이었다. 마치 어제 한쪽 다리를 잘라 온 송장의 모양과 같기에 잘라 온 다리를 다시 살피러 가 보니 과연 사람의 다리가 아닌 삼의 뿌리였다. 아내는 산삼을 잘 챙겨다가 정성껏 달여 남편에게 먹였고, 삼을 먹은 남편은 병이 깨끗이 나았다. 이후 부부는 행복하게 살았다고 전한다.

[모티프 분석]

「산삼으로 남편을 구완한 열녀」는 열녀 모티프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병든 남편을 살리기 위하여 힘든 일을 마다하지 않고 해냄으로써 남편의 병이 낫는 보상을 받는다는 점에서 열녀 모티프의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