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 조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1200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나교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광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10년 1월 21일 - 「도깨비 조화」 송경순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5년 12월 8일 - 「도깨비 조화」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4-8-충청남도 서천군에 수록
관련 지명 나교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나교리
채록지 나교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나교리지도보기
성격 설화|민담
주요 등장 인물 시아버지|시어머니|도깨비
모티프 유형 도깨비와 심술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나교리에 도깨비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도깨비 조화」는 시아버지가 게를 잡아왔다고 하여 물통을 열어 보니 쇠똥이 가득 들어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도깨비 조화」는 2010년 1월 21일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나교리 주민 송경순에게 채록하였다. 2015년 12월 8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4-8-충청남도 서천군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나교리에 물통 하나만 들고 냇물에 흘러 내려오는 게를 잡으러 다니는 시아버지가 있었다. 시아버지는 술을 못 마시는 대신, 밤 12시만 넘으면 게가 많이 나온다면서 물통을 들고 나갔다. 어느 날 시아버지가 또다시 게를 잡는다고 한밤중에 집을 나섰는데 날이 새기도 전에 와서는 한 통 가득 잡아왔으니 씻어서 손질하라고 하였다. 그래서 시어머니와 같이 열어 보니, 물통에 쇠똥이 한가득 들어 있었다. 도깨비가 조화를 부려서 시아버지 눈에는 쇠똥이 게로 보인 것이었다. 시어머니는 섣달그믐에 메밀묵을 많이 쑤어서 여기저기 뿌려 놓으면 도깨비가 심술을 덜 부린다고 말하였다.

[모티프 분석]

「도깨비 조화」의 모티프는 ‘도깨비와 심술’이다. 전국적으로 전하여 내려오는 도깨비와 관련된 민담에는 도깨비가 신이한 능력을 지닌 존재, 사람에게 장난치는 심술쟁이, 사람의 지혜에 못 당하는 어리석은 존재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도깨비 조화」에서 도깨비는 사람들과 장난치며 놀기를 좋아하는 대상으로 그려져 있다. 바닷가 마을의 민담에서는 도깨비가 좋아하는 메밀을 볶아서 마당에 뿌리면 도깨비가 집에 들어와 액을 막아 주고 풍요를 가져온다고 묘사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