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944
한자 初等學校
영어공식명칭 Elementary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유나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초등 보통 교육 기관.

[개설]

초등학교는 일반 교육·기초 교육·보통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기관이며 설립자나 지역에 관계없이 공통의 목표 아래 동일한 교육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초등학교의 취학 연령은 만 6세이고 교육 기간은 6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48년 제정된 「헌법」 제16조 “모든 국민은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는 규정에 입각하여 1950년 6월부터 초등 교육을 의무 교육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서천 지역 학령 아동 역시 관할 교육 기관에서 의무 교육을 받고 있다. 서천 지역 농어촌 인구가 감소하면서 취학 아동 수 역시 줄어들어 1992년부터 2015년까지 분교장 10개 학교, 2개 국민학교 포함 9개 초등학교 등 총 19개의 학교가 폐교되었다.

[변천]

서천 지역 역시 개화기부터 근대 학교가 설립되었다. 서천 지역에 설립된 개화기 근대 학교는 1905년 초등 과정을 개설한 인창학교(仁昌學校)이다. 이후 일제 강점기인 1911년 공포된 제1차 「조선교육령」에 따라 설립된 서천 지역 최초의 공립 초등 교육 기관은 1911년 개교한 한산공립보통학교[현 한산초등학교]이다.

1941년 3월 31일부터 학교 명칭이 보통학교에서 식민지 국민에 대한 보통 교육의 의미를 지닌 국민학교로 변경됨에 따라 서천 지역 대부분의 보통학교가 국민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국민학교라는 명칭은 광복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어 오다가,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고 우리의 역사를 올바른 방향으로 정립시키려는 목적으로 1996년 3월 1일부터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서천 지역 국민학교의 명칭이 초등학교로 변경되었다. 1960년대 이후 서천 지역 역시 인구 감소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서천 지역에서 초등학교라는 명칭으로 개교한 학교는 전무하다.

[현황]

2024년 3월 5일 현재 서천의 초등학교는 18곳이 운영 중이다. 장항초등학교, 장항중앙초등학교, 송림초등학교, 서천초등학교, 서남초등학교, 마동초등학교, 송석초등학교, 화양초등학교, 기산초등학교, 한산초등학교, 마산초등학교, 시초초등학교, 문산초등학교, 오성초등학교, 부내초등학교, 비인초등학교, 서면초등학교, 서도초등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모두 공립이다. 총 학급 수는 140학급이고, 총 학생 수는 1,458명이다.

서천 지역의 초등학교는 각 행정 구역별로 장항읍에 3개, 서천읍 1개, 마서면 3개, 화양면 1개, 기산면 1개, 한산면 1개, 마산면 1개, 시초면 1개, 문산면 1개, 판교면 1개, 종천면 1개, 비인면 1개, 서면 2개가 있다.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초등학교는 630명이 재학 중인 서천초등학교이고,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10명이 재학 중인 문산초등학교이다.

2024년 7월 충청남도교육청은 적정 규모 학교 육성 추진 계획에 따라 2년 간 교직원이 학생 수보다 많은 문산초등학교와 2년 간 신입생을 받지 못한 서남초등학교의 폐교를 잠정 결론 내렸고, 충청남도 서천교육지원청문산초등학교서남초등학교에 대한 통폐합을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